다음 달 1일부로 제휴 대거 종료올해 1분기 이연수익 9518억 원다음 달 마일리지 전환 비율 보고
아시아나항공이 다음 달부터 쇼핑몰, 숙박플랫폼에 이어 렌터카 업체와도 마일리지 적립 제휴 서비스를 종료한다. 대한항공과의 결합으로 인해 통합 마일리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재정부담을 덜고 소비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15일 항공업계에 따
한진그룹 지주사 한진칼이 자사주를 사내복지기금에 출연하며 호반건설과의 지분 격차를 벌린다. 호반건설의 경영권 공격에 방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진칼은 이사회 의결을 통해 금전 및 자사주 44만44주(지분율 0.66%)를 한진칼의 사내복지기금에 출연한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달부터 8월 중 출연 예정이다.
자사주에 대해서는 의결권이 없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이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7% 늘어난 1조7430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9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안전운항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로 정비비가 증가했고, 환율 상승으로 인한 운항비용ㆍ유류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보다 영업손실(233억 원
한진칼 주가가 14일 또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일에 이어 이틀 연속이다.
이날 오전 9시 57분 기준 한진칼 주가는 전일보다 26.92%(3만1200원) 오른 14만7100원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가격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각 한진칼우(29.97%)도 상한가며, 대한항공은 1.78% 오른 2만2850원을 나타내고 있다.
한진칼의 2대주주인 호반건설이
중국 무비자 입국 허용 조치에 여행 수요↑일본 노선 출혈경쟁 속 새로운 승부처로 부상항공사들 잇달아 중국 노선 증편ㆍ취항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허용 기대감 커져
사실상 닫혔던 중국 하늘길이 빠르게 열리고 있다. 중국 정부의 무비자 입국 허용 조치에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자 항공업계가 앞다퉈 중국 노선 확대에 나섰기 때문이다. 일본·동남아 노선의 과잉
원·달러 환율 1300원대로 급락⋯6개월만 최저 수준고환율에 부담 느꼈던 해외여행 수요에도 긍정적 영향국제유가도 배럴당 50달러대로 내려오며 비용 절감인도-파키스탄 군사 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은 여전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장기간 수익성 악화에 시달렸던 항공업계가 모처럼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의 지분을 인수했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캐나다 항공시장을 공략하면서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영향력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9일 대한항공은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공 지분 10%(2억2000만 달러 규모)를 인수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델타항공도 지분 15%(3억3000만 달러)를 인수한다. 델타항
방사청 주관 UH-60 헬기 개량 사업지난달 평가점수 통보…대한항공 컨소시엄, 최고점KAI 이의제기에도 방사청 “문제 없어” 입장 고수
1조 원 규모의 블랙호크 헬기 개량 사업에서 고배를 마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방사청에 이의제기를 제기하며 판 뒤집기에 나섰다. 하지만 사업 발주 기관 방위사업청이 “절차상 문제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대한항
KB증권이 8일 대한항공에 대해 원·달러 환율 하락은 긍정적이지만 주가는 이를 이미 반영해 단기 추가 상승 동력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4년 연속 역대 최대 수준의 연간 영업이익에도 그간 대한항공 주가가 억눌린 건 무역분쟁, 전쟁, 국내 정치 혼란 등 불안정한 대외 환경과 이로 인해 확대된 대한항공의 이익 변동성 때문"이라고
최근 3년간 항공사 직원 수 증가티웨이항공, 가장 큰 폭으로 채용이스타항공·에어프레미아 등 채용
국내 항공사들이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국제선 노선 확대와 여객 수요 증가 등 정상화 수순을 밟으면서 직원 수를 대폭 늘리고 있다. 올해도 인력 채용에 한층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7일 본지가 각 사의 사업보고서를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6개 상장 항
21일 양대 지수는 강보합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0.55% 오른 2573.80에 마감했다. 개인 홀로 5154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794억 원, 1103억 원을 순매수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3시 30분 주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30원 내린 139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시가
항공주 주가가 7일 일제히 강세다. 항공주는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가 하락하면 수혜를 받는 대표 업종으로 지목된다.
이날 오후 2시 32분 기준 대한항공은 전장보다 7.38%(1550원) 오른 2만2550원에 거래 중이며, 같은 시각 아시아나항공(4.55%), 한진칼(6.31%)도 강세를, 진에어(6.92%), 티웨이항공(3.48%), 제주항공(3
7일 장중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약보합세다.
이날 오후 2시 2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40% 오른 2570.1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3928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07억 원, 2693억 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2시 16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50원(0.04%) 내
파키스탄 영공 대신 남쪽으로 변경인도-델리 노선 등은 정상 운항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 여파로 대한항공이 파키스탄 영공을 지나는 인천-두바이 노선의 항로를 변경하기로 했다.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발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노선(주 7회 운항)의 항로를 남쪽으로 우회해 운항한다. 기존에 파키스탄 영공을 지나던 항로에서
7일 양대 지수는 간밤 미국 증시 하락세에도 상승 출발했다.
이날 오전 10시 55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45%(11.44p) 오른 2571.2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2796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36억 원, 1953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오전 10시 49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항공분야 꿈나무들 대상국립항공박물관서 항공직업 강연아시아나항공 직원들 강사로 참여대한항공도 최초로 함께해
아시아나항공이 6일 서울 강서구 국립항공박물관에서 대표적인 교육기부 활동인 항공진로특강을 열었다.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5~6일 이틀간 진행된 이번 특강에서 아시아나항공 운항·객실승무원과 정비사 객실승무원 등이 참여해 학생들에게 직업 강연을 펼쳤
KT, 패밀리박스 앱에서 '도전 골든벨' 열어LG유플러스, IPTV 프로모션 진행해
이동통신사가 5월 가정의 달과 황금연휴를 맞아 프로모션을 늘렸다.
KT는 가족 혜택 플랫폼 'KT 패밀리박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이벤트를 연다. KT 패밀리박스 앱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155만 명에 달한다.
KT는 5월 한달 간 퀴즈 이벤트와 제휴 쿠
대한항공은 임직원과 가족을 초청하는 ‘2025 패밀리데이’ 행사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행사는 2~5일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와 6일 부산 테크센터 격납고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처음 맞는 행사인 만큼 양사 국내 임직원과 가족 약 2만 명을 초청했다. 그동안 본사 격납고에서만 열렸던 행사를 부산 지역까지 확대했다.
코엑스 마곡이 위치한 ‘마곡 르웨스트(LE WEST)’를 중심으로 마곡지구가 주거∙상업∙업무∙마이스까지 모두 품고 있는 ‘콤팩트 시티’로 거듭나고 있다.
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콤팩트 시티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밀집도를 높이고, 다양한 기능을 한 곳에 집약시킨 도시를 의미하며 세계 주요 도시에서 주목하고 있다.
코엑스 마곡은 롯데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천대장 신도시에 대한항공 R&D센터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센터 조성 사업비는 약 1조2000억 원 규모로 1000여 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LH는 이날 경기 부천아트센터에서 대한항공, 경기도, 부천시와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항공안전 R&D센터’ 부천대장 제2도시첨단산업단지 투자 및 입주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