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 부동산 시장 재편…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중심 ‘콤팩트 시티’ 구축

입력 2025-05-01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곡 르웨스트 조감도. (자료제공=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조감도. (자료제공=롯데건설)

코엑스 마곡이 위치한 ‘마곡 르웨스트(LE WEST)’를 중심으로 마곡지구가 주거∙상업∙업무∙마이스까지 모두 품고 있는 ‘콤팩트 시티’로 거듭나고 있다.

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콤팩트 시티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밀집도를 높이고, 다양한 기능을 한 곳에 집약시킨 도시를 의미하며 세계 주요 도시에서 주목하고 있다.

코엑스 마곡은 롯데건설이 시공한 서울 서부권 최초의 전시·컨벤션 센터다. 개관 이후 첫 전시에만 나흘간 4만3000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며 성황을 이뤘다. 2026년 10월에는 홍콩, 싱가포르와 경쟁 끝에 유치한 ‘제49차 국제병원연맹(IHF) 세계병원대회’를 개최해 세계 90개국의 병원 및 의료관계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마곡 르웨스트는 마곡 특별계획구역의 대지면적 약 8만2000여㎡, 연면적은 약 84만㎡로 삼성동 코엑스(46만㎡)의 약 1.8배로, 김포, 일산, 인천 등 서울 서부권 및 경기 지역에서의 접근성이 높고, 지하 공공보행통로를 통해 지하철역부터 서울식물원까지 연결된다.

인근에는 다양한 시설도 들어섰다. 지난해 생활형 숙박시설에서 오피스텔로 용도를 변경한 ‘롯데캐슬 르웨스트’가 준공 완료됐고, 롯데호텔에서 운영하게 되는 시니어 레지던스인 ‘VL르웨스트’도 올해 9월 준공을 계획하고 있다. 시니어 수요자 특성을 고려한 의료 케어, 입주민 서비스, 특화 설계와 다양한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오피스 공간인 ‘케이스퀘어 마곡’, 복합 상업시설인 '원그로브'가 들어섰다. 원그로브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이마트 트레이더스'가 입점한 상태이며, DL이앤씨(E&C)가 사옥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마곡 르웨스트를 포함한 마곡지구는 최근 대기업을 비롯해 첨단 기업들의 연이은 이전으로 서울을 대표하는 핵심 업무지구로 부상했다. 대한항공 여객사업부, 에어인천 역시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인수에 따른 사세 확장의 영향으로 새 둥지로 마곡지구를 선택했다. 이 밖에도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을 비롯해 LG계열사인 디앤오의 공유오피스 ‘플래그원’, 바이오 기업 ‘인비트로스’ 등도 임차계약을 체결하며 마곡지구 내 본사 이전을 추진 중이다.

마곡지구는 롯데, LG 등 국내 대기업은 물론 이랜드, 코오롱, 넥센타이어, 광동제약 등의 R&D시설이 자리 잡은 첨단 R&D 융복합 산업단지로 4차 산업시대 혁신 성장을 이끄는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2월 LG사이언스파크 4개의 연구동 증설이 완료되며, 설 연휴를 시작으로 서초R&D캠퍼스, 양재R&D캠퍼스, 가산R&D캠퍼스 등에서 근무하는 연구원 2000명이 순차 입주를 시작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49,000
    • -1.15%
    • 이더리움
    • 3,513,000
    • -6.44%
    • 비트코인 캐시
    • 597,500
    • -0.58%
    • 리플
    • 2,962
    • -3.64%
    • 솔라나
    • 202,000
    • -6.87%
    • 에이다
    • 878
    • -5.89%
    • 트론
    • 375
    • -0.27%
    • 스텔라루멘
    • 358
    • -4.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40
    • -0.82%
    • 체인링크
    • 18,230
    • -7.46%
    • 샌드박스
    • 364
    • -5.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