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STB-CLOUD’ 미국 시장 정식 론칭

입력 2022-12-16 09: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클라우드 기반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프로세스 자동화…패러다임 변화 기대

▲STB CLOUD 영문 페이지 갈무리 (사진제공=신테카바이오)
▲STB CLOUD 영문 페이지 갈무리 (사진제공=신테카바이오)

신테카바이오가 클라우드 기반의 AI 신약개발 플랫폼 서비스 ‘STB-CLOUD’를 미국 시장에 정식 론칭했다고 16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에 따르면, STB CLOUD는 클라우드 기반 AI 신약개발 서비스로, 자사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클라우드상에서 별도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없이도 타깃만 정하면 솔루션을 제공한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프로세스를 △표준화 △단순화 △자동화해 언제 어디서든 원클릭으로 후보물질 발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회사는 STB CLOUD를 통해 신약개발 프로세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목표로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신테카바이오가 STB CLOUD를 통해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서비스는 AI 신약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로 합성신약 유효물질(Hit) 후보를 발굴해 주는 ‘딥매처-Hit’를 우선적으로 선보인다. 향후 선도물질 최적화 등 자사가 보유 중인 플랫폼을 추가로 탑재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신테카바이오는 클라우드 론칭을 준비하며 실시한 딥매처-Hit(DeepMatcher®-Hit) 플랫폼 성능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빠른 구매가 가능한 1억2000만 개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대상으로 10개 표적 단백질에 대한 대규모 스크리닝 평가를 진행했다. 각 표적에 대한 활성이 알려진 화합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포함해 딥매처-Hit 스크리닝을 실시한 결과, 활성 물질 중 평균 31.3%가 상위 랭크된 유효물질 후보군에 포함돼 있음을 확인했다.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이사는 “국내 제약사 및 기관 등과의 협업 등을 진행하며 고도화된 딥매처를 독자적으로 구축한 클라우드에 탑재해 미국 시장에 서비스를 시작한다”며 “미국 시장에서도 AI 신약개발 및 약물재창출 등 분야에서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글로벌 AI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AI 활용 신약개발 시장은 연평균성장률 28.63%로, 2027년에 35억4860만 달러(4조7136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S 공포’, FOMC 이후 더 커졌다…파월, ‘이중 위협’ 경고
  • 민주 “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상법 개정안 재추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000,000
    • +1.97%
    • 이더리움
    • 2,717,000
    • +4.42%
    • 비트코인 캐시
    • 590,000
    • +12.06%
    • 리플
    • 3,092
    • +2.11%
    • 솔라나
    • 214,600
    • +3.07%
    • 에이다
    • 1,003
    • +3.94%
    • 이오스
    • 1,185
    • +16.75%
    • 트론
    • 353
    • +1.73%
    • 스텔라루멘
    • 384
    • +3.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850
    • +6.2%
    • 체인링크
    • 20,790
    • +5.59%
    • 샌드박스
    • 409
    • +5.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