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특구, 친환경 수소 모빌리티 상용화 걸림돌 모두 제거

입력 2025-05-2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사업내용과 성과.  (출처=중소벤처기업부)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사업내용과 성과. (출처=중소벤처기업부)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울산 특구)에서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모빌리티 상용화의 걸림돌이 모두 제거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울산광역시는 울산 특구의 실증사업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운행과 충전시설의 안전성을 검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수소연료 충전대상을 확대하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 개정‧시행된다. 이동식 수소연료 충전시설에 대한 고시도 개정돼 수소 모빌리티 상용화와 연관된 충전관련 규제가 해소됐다.

그동안 수소 충전 대상이 자동차로 한정돼 있어 실내물류운반기계, 선박 등 다른 수소 모빌리티의 경우 수소연료 충전이 불가능했다. 고정충전소를 이용하기 어려운 실내물류운반기계의 이동식 충전도 할 수 없었다.

울산 특구는 2019년 12월 지정된 이후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 수소연료전지 실내물류운반기계와 수소선박에 대한 실증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 운행과 수소연료 충전시설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검증했다.

지난해 11월 자동차 이외의 이동수단에 대해 수소연료 충전이 가능하도록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올해 5월부터 시행하게 됐다. 이번에 이동식 수소연료 충전을 위한 고시까지 개정됨으로써 관련 규제가 모두 해소돼 다양한 이동수단에 수소 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울산 특구의 실증사업을 통한 규제 개선은 수소 모빌리티 관련 신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수소산업 활성화,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 확대 등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 특구 지정‧운영으로 총 447억 원의 투자유치를 확보하고 특구 내에 13개 기업을 유치했다. 지식재산권 46건 출원과 10건 등록 등 울산 수소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귀현 중기부 특구혁신기획단장은 “울산 특구를 통해 수소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 이외의 이동수단에 대한 충전, 충전시설에 관한 규정이 마련돼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고 수소경제로의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경제성장률 전망 하향
  • '골때녀' 원더우먼, 구척장신과 승부차기 끝에 역전승⋯마시마 '골키퍼'에서도 선방
  • 은종, 전남편 윤딴딴의 '쌍방폭행' 주장에 반박⋯폭행 정황 담긴 영상 공개
  • '만능'으로 평가받던 아이언돔·애로우…철벽이 뚫린 이유는 [리썰웨폰]
  • 푸틴, UAE대통령과 통화⋯“이란-이스라엘 분쟁 중재 의향”
  • '주학년 탈퇴' 이어지는 더보이즈 논란… 전 소속사 재평가까지
  • '우리동네는 내가 지킬개' 동네지킴이 반려견순찰대 [포토로그]
  • 대법관 늘리고, 국민참여 확대…‘재판받을 권리’ 보장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12: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08,000
    • +0.04%
    • 이더리움
    • 3,503,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36,500
    • -3.41%
    • 리플
    • 3,006
    • +0.07%
    • 솔라나
    • 203,500
    • -1.07%
    • 에이다
    • 837
    • -1.65%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49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00
    • -2.65%
    • 체인링크
    • 18,300
    • +0.94%
    • 샌드박스
    • 354
    • -1.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