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입력 2025-05-2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과수, '마약류 감정백서 2024' 발간

▲동해지방해양경찰청과 서울본부세관 합동수사본부가 지난달 2일 강원도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해 정박 중인 선박에서 압수한 코카인 의심 물질. (뉴시스)
▲동해지방해양경찰청과 서울본부세관 합동수사본부가 지난달 2일 강원도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해 정박 중인 선박에서 압수한 코카인 의심 물질. (뉴시스)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 접수된 마약류 감정 건수가 6년 전보다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마약류 유행과 마약류 집중단속 영향이다.

행정안전부 국과수는 이 같은 내용의 ‘마약류 감정백서 2024’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과거에는 국내에서 메트암페타민과 대마 중심으로 마약류가 유행했으나, 버닝썬 사태가 발생했던 2019년 이후 신종 마약류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국과수는 2022년도 감정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부터 마약류 감정백서를 발간하고 있다.

백서의 주요 내용을 보면, 국과수에 접수된 연간 마약류 감정 건수는 2018년 4만3000여 건이었으나, 2019년 버닝썬 사태와 2022년 이후 마약류 사범 집중단속을 거치며 지난해 12만여 건으로 약 3배 증가했다. 특히 소변·모발 의뢰 비중이 2018년 71%에서 지난해 55%로 축소되고, 압수품 비중이 29%에서 45%로 확대됐다. 유통책 단속이 확대된 결과다.

서울과학수사연구소에 의뢰된 압수품 통계에서는 2019년까지 10%를 밑돌던 신종 마약류 비중이 지난해 35%로 확대됐다. 대표적인 신종 마약류는 합성 대마와 반합성 대마 등으로, 외관상 마약류로 인지하기 어려워 전자담배 등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국과수는 “10대를 중심으로 청소년층의 합성 대마 전자담배 남용이 늘고, 20~30대 청년층의 마약 접근 용이성과 중복 투약 경향이 높아져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과 치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과거 드물었던 코카인, 합성 아편류(플루오로펜타닐 등) 등 고위험 약물 적발이 증가하고, 에토미데이트 등 의료용 마취제의 오·남용도 늘고 있다.

한편, 국과수는 지난해 3월 신설된 마약과를 중심으로 신종 마약류 탐색 플랫폼 구축, 지방 감정 인력 재배치, 장비 현대화 등 마약 분석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봉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은 “마약류 감정백서는 규제, 단속, 치료를 아우르는 과학적 정책 지원체계 실현을 위한 국과수의 의지를 담고 있다”며 “급변하는 마약 환경에서 국가 차원의 대응체계를 고도화하고 과학수사의 전문성과 신뢰성 강화에 실질적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불균형 심한 부동산…정상화 로드맵이 필요하다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①]
  • 군 제대로 복귀 신호탄 쏜 BTS…이들에게 선택받은 차량은 [셀럽의카]
  • 단독 방산 M&A 균열?… 한화-오스탈, 美 승인 놓고 엇갈린 해석
  • 공정위, 대한항공 마일리지 통합안 퇴짜..."수정·보완 요청"
  • 단독 예스24, '알라딘 해킹 사태' 당시 출판협회 보안 조사 거절해
  • '소간지'에서 'K-존 윅'으로…배우 소지섭이 사는 한남더힐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850,000
    • -2.03%
    • 이더리움
    • 3,802,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595,500
    • -2.3%
    • 리플
    • 3,093
    • -3.22%
    • 솔라나
    • 220,100
    • -4.01%
    • 에이다
    • 947
    • -4.82%
    • 트론
    • 377
    • -5.51%
    • 스텔라루멘
    • 379
    • -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70
    • -6.9%
    • 체인링크
    • 19,880
    • -6.4%
    • 샌드박스
    • 390
    • -5.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