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입력 2025-05-2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이달 29일 기준금리 결정날 수정경제전망 발표
올해 성장률 전망치 기존 1.5%…0%대로 낮출지 관심
2000년 이후 0%대 성장률 2009·2020년 단 두 번

▲길어진 내수 침체로 숙박·음식점업이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2년 3월(101.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은 전월보다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 지난해 연말 항공기 사고, 12·3 비상계엄 등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4일 서울 시내 한 식당가 음식점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길어진 내수 침체로 숙박·음식점업이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2년 3월(101.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은 전월보다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 지난해 연말 항공기 사고, 12·3 비상계엄 등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4일 서울 시내 한 식당가 음식점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0%대’로 낮춰 잡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연간 성장률이 0%대를 기록한 해는 2009년(0.8%)과 2020년(-0.7%) 단 두 차례뿐이다. 올해 전망치가 0%대로 내려가면 세 번째다.

한은은 이달 29일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날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2월에 발표했던 올해 성장률 예상치는 1.5%, 내년 예상치는 1.8%다.

한은이 2월에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 이후 미국의 관세 정책, 국내 내수 부진 등으로 다수의 국내외 투자·연구기관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대로 낮췄다. 현재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증권사 평균)는 1.0%(최고 1.2%, 최저 0.8%)다. 본지가 최근 채권·경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를 보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 레인지는 0.8~1.1%로 나타났다. 내년 성장률도 하향 조정해 1.6%로 낮출 수 있다는 응답도 나왔다.

국제금융센터가 조사한 4월말 기준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 8곳의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평균치도 기존 1.4%에서 0.8%로 하락했다. 올해 1월과 2월에 1.2%까지 예상했던 JP모건은 전망치를 0.5%로 대폭 낮췄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0.8%로 절반이나 하향 조정했다. KDI는 상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내수는 정국 불안에 따른 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가시적인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라며 "수출은 최근까지 반도체의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여타 산업의 부진으로 둔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미국 관세인상으로 수출 여건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연간 성장률 뿐만 아니라 분기별 전망치에도 이목이 쏠린다. 한은은 기존 분기별 성장률 경로를 전기대비 기준으로 △1분기 0.2% △2분기 0.8% △3분기 0.7% △4분기 0.5%로 각각 전망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0.246%로 '역성장 쇼크'를 겪은 만큼 분기별 전망치도 수정이 불가피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불균형 심한 부동산…정상화 로드맵이 필요하다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①]
  • 군 제대로 복귀 신호탄 쏜 BTS…이들에게 선택받은 차량은 [셀럽의카]
  • 단독 방산 M&A 균열?… 한화-오스탈, 美 승인 놓고 엇갈린 해석
  • 공정위, 대한항공 마일리지 통합안 퇴짜..."수정·보완 요청"
  • 단독 예스24, '알라딘 해킹 사태' 당시 출판협회 보안 조사 거절해
  • '소간지'에서 'K-존 윅'으로…배우 소지섭이 사는 한남더힐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003,000
    • -1.92%
    • 이더리움
    • 3,808,000
    • -2.31%
    • 비트코인 캐시
    • 596,000
    • -2.45%
    • 리플
    • 3,091
    • -3.16%
    • 솔라나
    • 219,900
    • -3.89%
    • 에이다
    • 946
    • -4.92%
    • 트론
    • 378
    • -5.26%
    • 스텔라루멘
    • 379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760
    • -7.03%
    • 체인링크
    • 19,890
    • -6.4%
    • 샌드박스
    • 391
    • -4.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