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사우디아라비아에 ‘K스마트팜’ 수출거점 시범온실 착공

입력 2025-04-23 09: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2월 완공 계획

▲2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립농업연구센터에서 진행된 K스마트팜 중동 수출 거점 조성을 위한 시범온실 착공식을 진행했다. 알 압둘라티프(왼쪽 4번째부터) 사우디 물환경농업부 차관보, 알 무샤이티 사우디 물환경농업부 차관,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문병준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 대리, 안호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원장, 황청용 농심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농심)
▲2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립농업연구센터에서 진행된 K스마트팜 중동 수출 거점 조성을 위한 시범온실 착공식을 진행했다. 알 압둘라티프(왼쪽 4번째부터) 사우디 물환경농업부 차관보, 알 무샤이티 사우디 물환경농업부 차관,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문병준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 대리, 안호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원장, 황청용 농심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농심)

농심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립농업연구센터에서 K스마트팜 중동 수출 거점 조성을 위한 시범온실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착공식은 지난해 7월 농심이 한국농업기술진흥권과 체결한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의 일환의 일환이다.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에 구축 및 운영해 국내 스마트팜 산업의 중동 현지 진출 활성화가 목적이다.

농심 스마트팜은 약 2000㎡ 규모로 올해 12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며, 첨단농업용 로봇, 환경제어 솔루션 등 다양한 K스마트팜 기술을 선보인다.

농심은 이번 스마트팜을 ‘수직농장’과 ‘유리온실’ 두 가지 모델로 조성한다. 수직농장에서는 프릴드아이스·케일과 같은 엽채류를, 유리온실에서는 방울토마토, 오이, 파프리카 등을 재배한다. 단맛을 선호하는 중동 현지인 입맛에 맞춰 쓴맛이 덜한 엽채류, 단맛을 느낄 수 있는 과채류 품종을 중심으로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농심이 생산한 작물은 사우디 현지 파트너사의 기존 유통망을 통해 우선 판매하고, 향후 현지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 입점할 계획이다.

농심은 이번 사업으로 중동 현지에서 K스마트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관련 산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현지 맞춤형 스마트팜 패키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작물 연구와 가공, 유통판매 등 스마트팜 연관 산업을 모은 클러스터를 구축해 세계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520,000
    • +2.23%
    • 이더리움
    • 2,755,000
    • +5.96%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12.58%
    • 리플
    • 3,115
    • +2.67%
    • 솔라나
    • 217,800
    • +4.06%
    • 에이다
    • 1,015
    • +4.96%
    • 이오스
    • 1,195
    • +17.97%
    • 트론
    • 354
    • +1.43%
    • 스텔라루멘
    • 386
    • +3.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00
    • +6.21%
    • 체인링크
    • 20,970
    • +6.72%
    • 샌드박스
    • 410
    • +5.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