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찬 삼양식품 대표 “美 관세 TF 구성…업계 공동 대응할 것”[현장]

입력 2025-04-04 14: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관·협회·타 식품사와 미국 관세 공동 대응”
수출 다변화·원가 개선 등 대응 방안 검토
잇단 라면업계 가격 인상에 “아직 계획 없어”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 부사장이 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대한민국 라면박람회’를 찾아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 부사장이 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대한민국 라면박람회’를 찾아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미국 관세 인상 관련 자체적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미국법인과 함께 대응을 검토 중이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 부사장이 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대한민국 라면박람회’를 둘러본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최근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정책 방침에 대해 “아직직까지 결론을 낸 부분은 없다”면서 “식품업계 공통의 문제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기관·협회·다른 식품사들과 같이 대응하려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수출을 다변화하거나 원가 개선 방안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삼양식품은 현재 국내에서 생산, 미국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현지 공장이 없는 삼양식품은 관세가 높아지면 수익성에 영향을 받게 된다.

지난해 삼양식품 매출은 1조7280원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 중 77%는 해외에서 벌어들이고 있으면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대다.

김 대표는 주요 제품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 “당분간 인상 계획은 없다”면서 “원재료 수입 원재료 부분들에 있어서 압박을 많이 받고 있지만 가급적이면 자체적인 노력으로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다”고 했다.

삼양식품은 이날 부스를 열고 푸팟퐁 커리 불닭볶음면과 라면 브랜드 ‘탱글’의 신제품 3종을 선보였다. 해외에서 먼저 출시한 해당 제품들은 이번 달 국내에서도 정식 출시한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해외에서 출시된 제품을 국내에서도 정식으로 선보이려고 한다”면서 “출시 전 소비자분들에게 제품을 소개하고 접점을 넓히려고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818,000
    • +2.44%
    • 이더리움
    • 2,753,000
    • +5.84%
    • 비트코인 캐시
    • 584,500
    • +10.91%
    • 리플
    • 3,123
    • +2.9%
    • 솔라나
    • 218,400
    • +4.45%
    • 에이다
    • 1,019
    • +5.49%
    • 이오스
    • 1,191
    • +16.88%
    • 트론
    • 356
    • +1.71%
    • 스텔라루멘
    • 389
    • +4.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00
    • +6.71%
    • 체인링크
    • 21,020
    • +7.14%
    • 샌드박스
    • 412
    • +6.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