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야(野)하다

입력 2017-09-11 10: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옷이 적잖이 선정적이거나 표정이나 몸짓에 성적 충동을 자극하는 매력이 있을 때, 혹은 그림이나 음악이 섹시(sexy)한 분위기를 풍길 때 흔히 ‘야하다’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야하다’는 말은 본래 성적 자극이 선정적인 상황에서만 사용하는 말이 아니다. 문화적인 것이 아닌 모든 경우에 다 사용하는 말이었다.

문화(文化)의 ‘文’이 가진 본래의 뜻은 ‘무늬’, 즉 ‘꾸밈’이다. 그리고 ‘化’는 ‘화할 화’라고 훈독하는 글자로 ‘변화(變化)’, 즉 A에서 B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따라서 文化는 전에는 ‘文’, 즉 무늬나 꾸밈이 아니었던 것이 언제부터인가 무늬로 꾸며져 ‘무늬화한’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야생에 인공을 가한 흔적이 바로 문화인 것이다. 따라서 문화의 반대말은 야생(野生)이다.

야생은 누적이 없다. 누적이 없기 때문에 천년 전의 모습이나 현재의 모습이나 달라진 게 없이 본바탕 그대로이다. 그래서 野는 곧 ‘질(質:바탕 질)’이다. 이에 반해, 인류의 손때, 즉 인공(人工)은 반드시 무늬와 꾸밈 등의 흔적을 남기고 그 흔적은 누적된다. 그 흔적의 누적이 바로 역사(歷史)이다. 야생의 자연에는 시간만 존재할 뿐 역사는 없다. 역사는 인류에게만 존재한다.

따라서 ‘野’의 반대는 ‘史’이기도 하다. 그래서 ‘史野’라는 말이 생겼고, 공자는 이에 대해 “문(文:무늬, 꾸밈)이 질(質:자연, 바탕)보다 많으면 사(史:역사, 문화)이고, 질이 문보다 많으면 야(野:야생, 자연)이다.[文勝質則史 質勝文則野]”라고 했다. 그리고 文과 質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사람을 일러 ‘군자(君子)’라고 했다.[文質彬彬 然後君子]

‘야(野)하다’는 말은 단순히 성적 선정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문화가 아닌 야생의 질박함, 즉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원색적인 것은 다 야한 것이다. 섹시함은 인류가 지닌 야성의 한 부분일 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준, 기준금리 동결…4.25~4.5%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어버이날 인사말 고민? 2025 어버이날 문구 총정리
  • "'효심'으로 대하니 만족도도 올라가요" 우리은행 시니어 점포 가보니 [그레이트 시니어 上]
  • 챔스 결승전 대진표 완성…'빅 이어' 주인공은?
  • '골때녀' 월드클라쓰, 4회 우승 저력 어디갔나⋯구척장신에 1-3 패배 '멸망전' 위기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김문수 "당무우선권 발동...당 지도부, 강제단일화 손떼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10: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610,000
    • +0.38%
    • 이더리움
    • 2,588,000
    • -1.11%
    • 비트코인 캐시
    • 578,000
    • +7.84%
    • 리플
    • 3,035
    • -1.01%
    • 솔라나
    • 210,700
    • -0.33%
    • 에이다
    • 965
    • -1.03%
    • 이오스
    • 1,174
    • +17.87%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372
    • -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850
    • +2.18%
    • 체인링크
    • 19,920
    • +0.05%
    • 샌드박스
    • 395
    • +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