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증시가 상승랠리를 펼치고 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5일(현지시각) 전일대비 125.95포인트(0.89%) 오른 1만4253.77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기준 사상 최고치 였던 1만4164.53(2007년 10월 9일)을 훌쩍 넘어섰으며 장중 사상 최고치인 1만4198.10(2007년 10월 11일)도 상회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낙폭을 모두 만회한 셈이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 역시 14.59포인트(0.96%) 상승해 5년6개월여만의 최고치인 1539.79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12년래 최고치인 42.10포인트(1.32%) 오른 3224.13으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양호한 경기지표가 훈풍을 불어넣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는 2월 서비스업지수가 56.0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이다. 지수가 50을 넘어서면 경기 확장 국면, 50보다 아래이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미국 가계부채 구조조정이 마무리되고 있고 주식시장에 우호적인 정책 기조가 지속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뉴욕증시의 상승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학균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장기상승 추세에 진입했다”며 “가계의 부채 구조조정(디레버리징) 마무리, 주식시장에 우호적인 정책 기조, 밸류에이션 매력, 미국 내 유동성 등이 뉴욕증시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발 훈풍에 글로벌 증시의 추가상승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실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부동산 규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전국인민대표자대회(전인대) 효과에 2320선을 넘어섰고 일본 닛케이225지수 역시 통화당국의 양적완화 의지에 힘입어 2008년 9월 이래 최고치인 1만1680선을 상회하고 있다.
글로벌 증시의 ‘뇌관’이었던 유럽도 점차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영국 FTSE100지수는 1.11%나 상승하며 6410선을 넘어섰고 독일 DAX30지수(1.93%)와 프랑스 CAC40지수(1.62%)도 1%넘게 올랐다.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3.6%)와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2.01%)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코스피지수 역시 6일 16.56포인트(0.82%) 오른 2033.17로 개장해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다.
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원은 “미국 시퀘스터, 이탈리아 총선, 일본은행(BOJ) 총재 인선 등 글로벌 리스크 요인 대부분이 노출됐다”며 “주요 중앙은행들의 양적완화 의지로 인해 유동성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글로벌 증시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