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랜드마크인 '서울광장'이 21년 만에 새 단장했다. 행사 중심 이벤트형 광장에서 문화·예술공연, 행사, 휴식, 산책이 가능한 곳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28일 서울시는 2004년 5월 개장한 서울광장을 숲과 정원의 개념을 더해 문화·예술·여가·자연을 동시에 즐기는 새로운 녹색광장으로 탈바꿈해 시민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23년 식재한 광장 양쪽 24그루의 소나무에 더해 아름드리 느티나무 6그루를 추가로 심었다. 기존의 나무 하단은 다양한 꽃과 나무로 채워 '한 뼘 정원'으로 꾸몄다.
광장 주변에는 산단풍, 마가목 등 이동이 가능한 화분 300여 개를 배치했다. 거울에 비친 서울시청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할 수 있는 '정원형 포토존'도 설치했다.
관련 뉴스
서울광장 바닥은 서울의 기후 특성에 맞는 난지형 단지(한국형 잔디)로 교체했다. 잔디 사이에는 목재길을 조성했다.
서울시는 이번 수목 식재와 다양한 정원조성, 바닥 목재 설치 등을 통해 연간 약 331.92톤의 탄소 저감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또 서울시는 하반기에 서울광장 2차 개선 프로젝트에 들어갈 예정이다. 올해 11월부터 광장 동쪽에 느티나무 플랜터(나무 주변 쉼터) 6개소를 추가로 조성하고 정원 주변에는 앉음 벽(걸터앉아 쉴 수 있는 조형물)을 설치하는 등 내년 4월까지 명실상부한 '서울광장 숲', '서울광장정원'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광장을 단순행사 관람과 참여의 공간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누리면서 오래 머물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 변화시키겠다"며 "뉴욕시민의 자랑인 매디슨 스퀘어 파크처럼 국내외 관광객에게 깊은 인상과 매력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