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기업도 예외 없다” 美 관세 폭격에 애플·테슬라도 '사정권'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입력 2025-04-0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06 17:18)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가격 인상ㆍ공급망 다각화ㆍ미국 신규 공장 설립 등 고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과거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서 외쳤던 ‘너는 해고야(You are fired)’가 현실이 됐다. 확성기로 경고만 날리던 ‘관세 부과’가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실제 ‘발사(fire)’된 것이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놓고 ‘뒤집힌(inverted) 세계’라고 표현했다. 뒤집힌 세계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 직격탄을 날렸다. 2018년 시작된 미중 무역갈등,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에 이어 한국기업들은 관세발(發) 공급망 전쟁 소용돌이에 다시 휘말렸다. 공급망은 인증과 같은 절차적인 부분을 새롭게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재편이 쉽지 않다. 생산라인 구축 등에도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집행된다. 본지는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기업들의 공급망 현주소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로 자국 기업들 역시 큰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애플, 테슬라 등 해외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일부 미국 기업들은 가격 정책 조정, 공급망 다각화 등 대응책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점쳐진다.

6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주요 기업들은 상호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가격 인상, 공급망 위치 변경, 미국 내 신규 공장 설립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담당하고 있는 만큼 이번 관세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이 중국에 대해 부과한 상호관세는 34%다. 기존 중국에 적용했던 관세 20%를 더하면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 관세는 54%에 달한다.

외신 및 해외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애플이 일부 제품에 관해 가격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애플이 당장 하반기 신제품 플래그십 모델 ‘아이폰17 시리즈’를 생산해야 하는 만큼 단기간에 생산지를 옮기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 로젠블래트 증권은 애플이 상호관세를 토대로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경우 약 43%의 가격 인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 기본형의 경우 최대 1142달러로, 1599달러에 출시된 최고급 모델 아이폰16 프로맥스의 경우 최대 2300달러로 각각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애플은 가격 인상 카드와 동시에 인도나 베트남 등 상대적으로 관세 인상률이 적은 국가의 공급망을 확대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통신사 보조금을 늘리는 방안, 공급사에 비용 절감을 압박하는 방안 등도 거론된다.

테슬라의 경우 생산 공장이 전 세계에 고르게 분산된 만큼 이를 유연하게 활용해 자동차 관세로부터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평가다. 테슬라는 현재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 지역에 자동차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올해 신규 모델인 ‘모델Y 주니퍼’는 중국 상해, 독일 베를린, 미국 텍사스 및 프리몬트 등 4개 공장에서 생산 중이며, 각 공장에서 만든 물량은 해당 지역에서만 판매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가능성이 높다.

엔비디아는 미국에서 자사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제품 조립 비중을 크게 늘려 대응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관세 인상 대상에서 반도체는 제외됐지만, GPU, 서버 시스템 등 반도체를 포함한 완제품은 조립 장소에 따라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

임지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완제품 조립 비중은 중국 20%, 대만 30%, 멕시코 30%, 미국 20%로, 최근 멕시코 및 미국 조립 확대와 공급망 다변화 추진 결과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 엔비디아, 중국시장 절대 못 놓아…수출용 새 저가 칩 양산 착수
  • 홍준표 “이준석에 대한 투표, ‘사표’ 아니라 ‘미래 투자’”
  • AI 반등에 사활 건 카카오… ‘카나나’ 시험대 위로
  • 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 신유빈-유한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강서 아쉬운 패배…동메달 목에 걸었다
  • 청년 유입 없고 외국인 가득한 현장에 머리 아픈 건설업계
  • ‘런치플레이션’에 급식 시장 호조...업계 수익성은 희비교차, 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096,000
    • -1.58%
    • 이더리움
    • 3,501,000
    • -2.51%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4.16%
    • 리플
    • 3,211
    • -2.28%
    • 솔라나
    • 240,600
    • -2.91%
    • 에이다
    • 1,029
    • -3.47%
    • 이오스
    • 1,011
    • -2.03%
    • 트론
    • 382
    • +0%
    • 스텔라루멘
    • 393
    • -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00
    • -3.83%
    • 체인링크
    • 21,210
    • -4.33%
    • 샌드박스
    • 419
    • -4.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