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 저드 “와인스틴이 내 커리어 망쳤다”…소송 제기

입력 2018-05-02 09: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지의 제왕’ 출연 막아”

▲할리우드 애배우 애슐리 저드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영화 제작자 하비 와인스틴을 상대로 명예훼손과 성희롱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왼쪽은 애슐리 저드가 지난해 7월 25일(현지시간) 베벌리힐스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와인스틴이 지난해 1월 8일(현지시간) 베벌리힐스에서 열린 파티에 참석하고 있다. 베벌리힐스/AP뉴시스
▲할리우드 애배우 애슐리 저드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영화 제작자 하비 와인스틴을 상대로 명예훼손과 성희롱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왼쪽은 애슐리 저드가 지난해 7월 25일(현지시간) 베벌리힐스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와인스틴이 지난해 1월 8일(현지시간) 베벌리힐스에서 열린 파티에 참석하고 있다. 베벌리힐스/AP뉴시스
할리우드 여배우 애슐리 저드가 유명 영화 제작자이자 세계적인 ‘미투 운동’을 촉발한 계기가 된 하비 와인스틴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저드는 전날 와인스틴을 상대로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 최고법원에 성희롱과 명예훼손 소송을 냈다. 그는 소장에서 와인스틴이 영화 ‘반지의 제왕’ 3부작 출연을 막았으며 이는 1년 전 자신이 와인스틴의 성적 요구를 거절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했다.

고소장에서 저드는 “1998년께 반지의 제왕 출연을 논의하고자 감독인 피터 잭슨, 그의 제작 파트너인 프랜 월시와 만났지만 와인스틴이 험담을 해 출연하지 못했다”며 “와인스틴은 나의 커리어에 상처를 줬다”고 비판했다. 소장에 따르면 와인스틴은 피터 잭슨에게 “저드와 함께 일한 것은 ‘나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잭슨 감독은 지난해 12월 한 인터뷰에서 와인스틴이 저드에 대해 했던 험담을 공개했다.

현재 와인스틴은 수십 년에 걸친 성추행과 성폭행 등으로 여러 건의 소송에 직면했으며 관련 여성은 80명이 넘는다. 저드는 지난해 10월 와인스틴 스캔들이 터졌을 때 그의 잘못된 행동을 고발한 여배우 중 한 명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IMEI·IMSI 동시 유출 땐 복제폰 위험⋯전문가 "최악의 상황 고려하라"
  • 서울에서 자녀 출산한 무주택가구, 최대 720만 원 받으려면 [경제한줌]
  • 단독 한화에어로, 방산 1호 중대재해 적용 피할 듯…노동청, 내사종결 가닥
  • 단독 '고아계약' 사라지나…금융당국, 설계사 퇴사 시 수수료 승계 검토
  • 북핵·대중 관계 이슈된 외교·안보 공약…후보들 간 이견 뚜렷
  • 단독 이재명 '호텔경제학' 근본은 '성매매 경제학'?
  • 허윤정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건강한 노화는 선택 아닌 필수” [바이오포럼2025]
  • ‘불꽃야구’ 신입 내야수 박찬형, 롯데 자이언츠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168,000
    • +1.96%
    • 이더리움
    • 3,590,000
    • +5.22%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2.21%
    • 리플
    • 3,338
    • +1.71%
    • 솔라나
    • 237,600
    • +3.39%
    • 에이다
    • 1,042
    • +1.76%
    • 이오스
    • 1,103
    • +0.27%
    • 트론
    • 384
    • +2.13%
    • 스텔라루멘
    • 402
    • +1.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60
    • -0.26%
    • 체인링크
    • 22,710
    • +5.87%
    • 샌드박스
    • 439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