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0.2%로 상향 확정…‘그래도 마이너스 성장’

입력 2015-06-25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남은 기간 회복세 찾을 것이라는 기대 커져…연내 금리인상 확실시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연율 마이너스(-)0.2%를 기록했다고 24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가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과 부합하고 1개월 전 발표됐던 수정치 -0.7%에서 상향 조정된 것이다. 비록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확정치가 다소 개선되면서 올해 경기회복 기대를 키우고 있다고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 비중을 차지하는 소비지출이 1.8% 증가에서 2.1% 증가로 상향 조정된 것이 GDP 성장률 상향에 주효했다. 다만 증가폭은 지난해 4분기의 4.4%보다는 둔화한 것이다.

기업재고는 수정치의 950억 달러에서 995억 달러로 늘어났다. 기업재고는 전체 GDP 성장에 0.45%포인트 기여했다.

주택 건설과 관련된 지출은 6.5% 증가로 종전의 5% 증가에서 상향 조정됐다. 최근 발표된 지난달 신규주택 매매와 기존주택 모두 최소 5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주택지표가 호조를 보이고 있어 주택지출 증가폭은 올해 더 커질 전망이다.

부정적인 징후도 포착됐다. 기업투자는 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정치보다 감소폭이 다소 줄어든 것이나 여전히 2009년 이후 가장 부진한 모습이다.

강달러와 유가하락 등으로 올해 남은 기간 제조업 경기회복도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은 수정치의 7.6% 감소에서 5.9% 감소로, 정부 지출은 종전의 1.1% 감소에서 0.6% 감소로 각각 수정됐다.

그러나 지난해도 1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나서 2,3분기에 다시 성장세를 회복한 전례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올해도 반등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이는 주식과 채권 등 금융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기 때문. 제롬 파웰 연준 이사는 전날 “9월 첫 금리인상 확률이 50%에 이른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기차 시대 ‘정비 기사’가 없다…차세대 제조업 병목 [장인 없는 제조강국 下]
  • LG 트윈스와 손잡은 유플러스, ‘일상의틈’으로 프로야구 팬덤 공략 [가보니]
  • 은행 주담대 충족 신용점수 ‘940점’…밀려나는 중ㆍ저신용자들
  • '골때녀' 발라드림, 구척장신에 3-1 승리⋯새 맴버 장예원 해트트릭 달성
  • ‘2025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재빠른 수령 방법은? [그래픽 스토리]
  • 손흥민 첫 우승컵, 토트넘 레전드 된 캡틴 [종합]
  • "이게 연프야, 서바이벌이야?"…'데블스 플랜2'가 놓친 본질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재정적자 부담’ 감세 예산안 통과 전망에 하락…다우 1.91%↓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09: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943,000
    • +1.84%
    • 이더리움
    • 3,582,000
    • +0.7%
    • 비트코인 캐시
    • 575,500
    • +3.97%
    • 리플
    • 3,341
    • +0.91%
    • 솔라나
    • 242,000
    • +2.15%
    • 에이다
    • 1,079
    • +2.96%
    • 이오스
    • 1,055
    • -4.61%
    • 트론
    • 374
    • -1.06%
    • 스텔라루멘
    • 410
    • +1.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00
    • +11.16%
    • 체인링크
    • 22,570
    • +2.08%
    • 샌드박스
    • 445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