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 개선세
다시 증익 구간에 진입
황성진 흥국증권
◇코스메카코리아
저점을 지나는 중
1Q25 Review: 주요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시장 기대치 하회
주요 고객사 오더 흐름 회복세. 신규 영업 성과 가시화가 모멘텀
배송이 미래에셋증권
◇셀트리온
1Q25 Review: 실적도 아쉬운데 현금들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약을 개발한 국내 제약사들이 올해 1분기 양호한 성적표를 가져왔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에 진출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단 평가다. 항암제, 혈액제제, 중추신경계 치료제 등 분야도 다채로운 가운데 신약을 통한 이들 기업의 성과는 점점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렉라자’, 마일스톤 추가 유입 예정
12일 금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흐름을 흔들고 있다. 산업의 무게 중심이 신약 개발과 연구에서 제조 기반으로 옮겨지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규제 기조도 엄격해지고 있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핵심의약품의 자국 생산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명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약가 인하 추진 여파에 국내 바이오주가 하락하고 있다.
12일 오후 2시 10분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 거래일보다 4.13% 떨어진 99만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셀트리온(-3.92%)과 SK바이오팜(-2.65%), 휴젤(-2.52%) 등의 주가도 내림세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처방약 가격을 최대 80% 낮추
메리츠증권은 12일 SK바이오팜에 대해 의약품 관세와 약가 인하 리스크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17만 원에서 14만 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준영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엑스코프리(Xcopri) 성장세를 반영해 멀티플에 부여했던 30% 프리미엄을 제거하며 적정 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KT
남은 분기도 맘 편하게
1Q25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에 부합
그룹사가 실적 성장 견인
매 분기 큰 폭의 이익 성장 기대
김태현 IBK투자증권
◇NAVER
플러스스토어의 안착 확인
1Q25 Review: 영업이익 5.053억원으로 컨센서스 부합
서치플랫폼 +11.9%, 커머스 +12.0%로 시장 성장대비 아웃퍼폼
플러스스토어 출시 후 방문자당 구
코스피는 지난 한 주(7~9일)간 2.21포인트(p)(0.09%) 내 2577.27에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32억 원, 672억 원 매수했지만 기관은 1873억 원 매도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평화홀딩스로, 97.34% 오른 8900원에 장을 마쳤다.
평화홀딩
SK바이오팜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매출을 앞세워 1분기 호실적을 달성했다.
SK바이오팜은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444억 원, 영업이익은 149% 늘어난 257억 원이라고 9일 공시했다.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7% 증가한 1333억 원을 기록했다.
엑스코프리의
미국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정책에 따른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장 환경이 미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에 유리한 구조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한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생산거점 확보 여부가 중요해졌다.
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21일 양대 지수는 강보합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0.55% 오른 2573.80에 마감했다. 개인 홀로 5154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794억 원, 1103억 원을 순매수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3시 30분 주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30원 내린 139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시가
7일 장중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약보합세다.
이날 오후 2시 2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40% 오른 2570.1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3928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07억 원, 2693억 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2시 16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50원(0.04%) 내
7일 양대 지수는 간밤 미국 증시 하락세에도 상승 출발했다.
이날 오전 10시 55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45%(11.44p) 오른 2571.2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2796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36억 원, 1953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오전 10시 49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KRAS G12D 저해제의 최신 연구 성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KRAS 변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로, 췌장암·대장암·폐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발견된다. 이 중 KRAS G12D 변이는 가장 흔히 발견되는 KRA
대신증권이 SK가 강도 높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순자산가치(NAV) 하락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29일 "NAV 감소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21만 원으로 기존 대비 8.7%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전날 종가는 13만1400원이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SK는 지난해
SK그룹은 인공지능(AI)·반도체, 에너지 등 주력 사업 분야에서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와 기술 혁신을 통해 산업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산업 부문에서도 R&D 경영을 기반으로 기술 경쟁력을 고도화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로 AI 반도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최근 AI
“좋은 자산을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만 해서는 K바이오가 크게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라이선스 아웃만 해서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만 하게 됩니다. 우리 브랜드를 꾸준히 알리기 위해선 끝까지 임상을 진행해야 합니다.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시스템을 통해 스케일업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고종성 제노스코 대표는 24일 수원컨벤
SK바이오팜, 올해 예상 영업익 1600억 원공격적 마케팅으로 매출, 영업이익 퀀텀점프
SK바이오팜이 올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과 연령을 확대하고, 미국 외에 글로벌 시장 확장에 나선다. 이를 통해 영업이익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SK바이오팜의 연간 실적 추정치는 매출 7104억
효과적인 치료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 시장에 대한 제약·바이오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CNS 치료제 분야에서 대규모 기술수출 성과까지 나오면서 국내 업계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9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조현병,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뇌전증 등을 비롯해 CNS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카카오게임즈
하반기 이후 반등 모색
상반기까지 영업적자 불가피
부진한 1분기 실적 예상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
◇LG전자
MC본부 만성 적자, 코로나19 당시의 밸류에이션
일회성비용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주된 체크포인트: 수요, 관세, 물류비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하단 수준으로 하락
고의영 iM증권 연구원
◇LG에너지솔루션
미국 관세 정책으로
SK바이오팜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가 5일부터 9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신경과학회에 참가해 세노바메이트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연구는 국소 발작을 가진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 내 다기관 후향적 관찰 연구다. 최소 2주 이상 세노바메이트 50mg/일 이상을 부가 요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