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1분기 영업익 789억…전년 동기 대비 144.3%↑

입력 2025-04-28 10: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LG CNS)
(사진제공=LG CNS)

LG CNS는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기준 영업이익이 789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4.3%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은 1조2114억 원으로 13.2% 늘었다.

회사 측은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및 인공지능(AI) 도입 확산 추세에 따라 인공지능전환(AX) 사업을 가속화해, 클라우드와 AI 분야에서 가파른 성장을 달성하며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A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1% 성장한 7174억 원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AI 사업은 회사 전체 매출의 약 59%를 차지하는 핵심 사업이다.

AI 분야에선 특히 금융과 제조 분야 성장이 두드러졌다. LG CNS는 NH농협은행, 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증권, 신한은행, 신한카드, KB금융그룹 등 금융 기업의 AX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DAP GenAI 플랫폼’과 LG AI연구원의 ‘엑사원(EXAONE)’ 등을 활용한 금융 AX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금융권 차세대 시스템에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면서, 관련 사업 성과가 증가할 전망이다. LG CNS는 S-OIL을 포함한 다양한 제조 기업의 공장을 AI 기반의 지능형 공장으로 고도화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클라우드 부문도 게임, 물류,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 수요 증가로 성장했다. 특히 국내외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이 본격적인 성장세에 진입했다. AI 데이터센터 영역에서는 특수 액체로 서버를 냉각하는 액침냉각 기술, 디지털트윈 기술 등을 필두로 동남아시아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물류·스마트팩토리·스마트시티 등 스마트엔지니어링 사업 매출은 2063억 원,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SI·SM) 사업 매출은 2877억 원을 기록했다.

LG CNS는 에이전틱 AI 시장 선점을 위해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클라우드 등과 파트너십을 확대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지능형 로봇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도 해외 파트너와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 엔비디아, 중국시장 절대 못 놓아…수출용 새 저가 칩 양산 착수
  • 홍준표 “이준석에 대한 투표, ‘사표’ 아니라 ‘미래 투자’”
  • AI 반등에 사활 건 카카오… ‘카나나’ 시험대 위로
  • 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 신유빈-유한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강서 아쉬운 패배…동메달 목에 걸었다
  • 청년 유입 없고 외국인 가득한 현장에 머리 아픈 건설업계
  • ‘런치플레이션’에 급식 시장 호조...업계 수익성은 희비교차, 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065,000
    • -1.46%
    • 이더리움
    • 3,496,000
    • -2.26%
    • 비트코인 캐시
    • 578,000
    • -3.75%
    • 리플
    • 3,213
    • -2.13%
    • 솔라나
    • 240,900
    • -2.43%
    • 에이다
    • 1,034
    • -2.54%
    • 이오스
    • 1,012
    • -1.46%
    • 트론
    • 380
    • +0%
    • 스텔라루멘
    • 395
    • -2.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300
    • -3.36%
    • 체인링크
    • 21,250
    • -3.63%
    • 샌드박스
    • 420
    • -3.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