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가 2일 미·중, 미·일 협상 기대감에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378.39포인트(1.04%) 오른 3만6830.69에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닛케이225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 행진을 기록했는데, 이는 8거래일 연속 상승했던 2023년 9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토픽스지수도 전일 대비 8.34포인트(0.31%)
금리 동결에 엔저로 자금 유입중국 등 대부분 노동절 휴장
노동절 등으로 아시아증시 대부분 휴장한 가운데 일본증시는 강세장을 이어갔다.
1일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6.92포인트(1.13%) 상승한 3만6452.30에, 토픽스지수는 12.15포인트(0.46%) 오른 2679.44에 마감했다.
중국과 대만, 홍콩, 싱가포르 증시는 노
블룸버그 “LG전자 IPO 일시 중단”LG전자 “현재 확정된 사항 없어”인도 증시·미국발 관세로 늦어질 가능성
LG전자가 ‘인도 법인 기업공개(IPO) 일시 중단’ 소식과 관련해 “IPO 준비를 중단하지 않았고 최적의 시점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LG전자가 인도 현지에 불안정한 증시 변동 등의 이유로 추진
한국 LG전자 인도법인이 인도 증시 변동성을 고려해 기업공개(IPO)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고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LG전자는 주간사들에 “인도 법인의 IPO를 연기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IPO가 연기된 배경으로 인도증시의 불확실성이 꼽힌다. 한 소식통은 지난달 블룸버그에 "올해 초 인도 증시가 내림세를 보인
글로벌 펀드 부진 속…인도만 '플러스'미ㆍ중 갈등 가운데 중국 대체 가능성 제기내수 부양 의지·성장 스토리 변화에도 주목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인도 펀드가 유일하게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한 달간 인도 대표 지수는 4% 넘게 상승했으며, 미ㆍ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대체 생산기지로서 인도
삼성자산운용은 인도 중소형주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최초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 인도Nifty미드캡100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8일 밝혔다.
KODEX 인도Nifty미드캡100 ETF는 인도 증시의 중소형주 대표 지수인 ‘Nifty Midcap 100 Index’를 추종하며, 인도 내수 경제를 주도하는 100개 중소형 성장 기업에 분산
항셍 장중 한때 13.5%↓
아시아증시가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일제히 폭락했다.
이날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개장 직후 폭락하면서 2023년 10월 31일 이후 약 1년 반 만에 3만1000엔선을 밑돌았다. 이후에는 다소 하락 폭을 줄이면서 전장보다 2644.00엔(7.83%) 밀린 3만1136.58엔에 거래를 끝냈지만,
아시아증시가 14일 대체로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63.07포인트(0.72%) 오른 3만7053.10엔에, 토픽스(TOPIX)지수는 전장 대비 17.49포인트(0.65%) 상승한 2715.85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8.00포인트(1.73%) 뛴 3416.72에,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6.
아시아증시가 13일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9.06포인트(0.08%) 밀린 3만6790.03엔에, 토픽스지수는 3.45포인트(0.13%) 오른 2698.336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13.20포인트(0.39%) 내린 3358.73에,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16.6
아시아증시가 1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 주목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497.77엔(1.28%) 오른 3만9461.47에, 토픽스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26포인트(1.18%) 상승한 2765.59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13.90포인트(0.42%) 밀린
NH투자증권은 인도 증권사 ICICI가 주최하는 '20th Annual 컨퍼런스 2025(인도 기업 IR 컨퍼런스)'에 참석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컨퍼런스를 통해 장기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도시장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와 투자전략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싱가포르 풀러턴 호텔에서 지난 6일부터 이틀간 진행했으며, 인도 기업 25곳의 202
지난해 인도는 새로운 글로벌 투자처로 부상하며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하반기 니프티50지수가 2.8%가량 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인도 경제 성장성을 향한 의구심 어린 시선도 쏟아진 탓이다.
시장이 보는 인도 증시 미래는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인도 증시가 주목받았던 여러 배경이 아직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아시아 증시가 2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공지능(AI) 프로젝트, 중국 당국의 증시부양책에 힘입어 대체로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312.62엔(0.79%) 오른 3만9958.87엔에, 토픽스지수는 전날 대비 14.55포인트(0.53%) 상승한 2751.74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기업 EPS 전망 위험 적어”모건스탠리 “센섹스지수 올해 18% 상승”
씨티그룹은 올해 인도 주식 수익률이 10%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8일(현지시간) 블룸통신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수렌드라 고얄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인도증시 벤치마크인 니프티50지수 목표가를 2만6000으로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보다 10% 높은 수치다.
고얄 애널
일본 새해 첫 거래일서 하락 마감중국, 미국 관세에 대한 우려 잔존폭스콘 호실적에 가권지수 2.8%↑
6일 아시아증시는 일본과 인도 증시의 낙폭이 컸다. 두 곳 모두 상승 출발한 직후 하락 전환했다. 중국과 홍콩 증시는 소폭 하락했고 대만 증시는 3% 가까이 급등했다.
이날 일본 대표증시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587049포인트(1.47%)
경제성장 둔화, 증시 고평가 우려 영향벤치마크 지수 9%↑…자국 투자자가 견인
글로벌 투자자들이 지난해 경제성장 둔화와 증시 고평가 우려로 인해 인도 주식에 대해 순매도세로 전환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자체 집계한 데이터를 통해 글로벌 펀드들이 지난해 인도 주식을 7억5000만 달러(약 1조1000억 원) 순매도했다고 분석했다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은 인도 증시 투자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인도 투자 ETF·펀드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해외 상장 인도 상장지수펀드(ETF) 3종과 국내 상장 인도 ETF 3종, 인도 핵신산업에 투자하는 펀드 3종을 추천하고, 내년 1월 31일까지 1000만 원 이상 순매수시 10명을 추첨해 100만 원 상당
10월 15일 이후 약 2개월 만에 웃돌아간밤 나스닥지수 사상 첫 2만선 돌파
아시아증시가 12일 미국발 훈풍에 대부분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476.91엔(1.21%) 오른 3만9849.14에, 토픽스(TOPIX)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72포인트(0.86%) 뛴 2773.03에 거래를 끝냈다. 닛케이225지수는 장중 한
LG전자가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공식화하고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했다.
6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날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인도법인 상장예비심사청구서(DRHP)를 제출했다.
DRHP는 수요예측, 공모가, 공모일 확정을 위해 상장심사기관에 법인 지배구조와 재무현황 등을 공개하는 서류로, 현지 증시 상장을 위한 첫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