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에너지고속도로로 경제도약·지역균형발전”

입력 2025-04-24 11: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 나선 이재명 예비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오마이TV 스튜디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 나선 이재명 예비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오마이TV 스튜디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24일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통해 경제도약과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기후 위기 대응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OECD 38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여전히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비중은 원자력 31.7%, 석탄 28.1%, LNG 28.1%, 재생에너지 9.5%, 신에너지 1%"라며 "석탄 비중을 최소화하고 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 비율을 신속히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후보는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며 "20GW 규모의 남서해안 해상풍력을 해상 전력망을 통해 주요 산업지대로 송전하고, 전국에 RE100 산단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2040년 완공 목표로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해 한반도 전역에 해상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는 분산형 에너지 체계"를 만들겠다며 "햇빛과 바람 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ESS), 그린수소, 히트펌프 등과 연계하고, AI기반 지능형 전력망을 활용하여 에너지 자립마을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산업을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질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만들겠다"며 "2024년 기준, 전 세계 에너지 부문 투자액은 4360조 원으로 반도체와 자동차 시장을 합한 것보다 규모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안군의 사례를 들며 "햇빛‧바람 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해 주민 소득을 늘리고, 사람이 돌아오는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이 후보는 "김대중 대통령은 '정보화고속도로'로 IMF 경제위기를 극복하셨다"며 "저 이재명은 '에너지고속도로'로 세계를 주도하는 K-이니셔티브 시대를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 엔비디아, 중국시장 절대 못 놓아…수출용 새 저가 칩 양산 착수
  • 홍준표 “이준석에 대한 투표, ‘사표’ 아니라 ‘미래 투자’”
  • AI 반등에 사활 건 카카오… ‘카나나’ 시험대 위로
  • 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 신유빈-유한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강서 아쉬운 패배…동메달 목에 걸었다
  • 청년 유입 없고 외국인 가득한 현장에 머리 아픈 건설업계
  • ‘런치플레이션’에 급식 시장 호조...업계 수익성은 희비교차, 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363,000
    • -0.96%
    • 이더리움
    • 3,523,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579,000
    • -3.18%
    • 리플
    • 3,222
    • -1.8%
    • 솔라나
    • 240,200
    • -2.4%
    • 에이다
    • 1,042
    • -1.42%
    • 이오스
    • 1,059
    • +2.72%
    • 트론
    • 382
    • +0.53%
    • 스텔라루멘
    • 396
    • -1.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50
    • -2.22%
    • 체인링크
    • 21,270
    • -3.19%
    • 샌드박스
    • 421
    • -3.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