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달쏭思] 어차피(於此彼)와 도저(到底)히

입력 2017-09-05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언뜻 듣기에 순우리말인 것 같아도 사실은 한자어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어차피’와 ‘도저히’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어차피는 한자로 ‘於此彼’라고 쓰는데 ‘於’는 ‘-에’ 혹은 ‘-에서’라는 의미를 가진 처소격(處所格) 조사이다. 영어의 전치사 ‘in’이나 ‘at’에 해당하는 글자이다.

그리고 ‘此’는 ‘이 차’라고 훈독하며 ‘이, 이것’이라는 의미, 즉 영어의 ‘this’에 해당하는 글자이다. ‘彼’는 ‘저 피’라고 훈독하며 ‘저, 저것’이라는 뜻, 즉 영어의 ‘that’에 해당한다. 따라서 ‘於此彼’는 직역하자면 ‘이것에서든 저것에서든’이며, 이는 곧 ‘이것이든 저것이든’ 혹은 ‘이렇든 저렇든’이라는 의미이다. “어치피 가야 한다”는 말은 곧 “이렇든 저렇든 가야 한다”는 뜻이다.

도저히는 ‘도저’라는 한자어와 ‘-히’라는 부사형 접미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도저’는 한자로 ‘到底’라고 쓰는데 ‘到’는 ‘이를 도’, ‘도달할 도’라고 훈독하고, ‘底’는 ‘밑 저’, ‘바닥 저’라고 훈독한다. 따라서 ‘到底’는 ‘맨 밑바닥에 이르도록’이라는 뜻이다. “도저히 안 되겠다”라는 말은 곧 “맨 밑바닥에 이르기까지 다 해 봤는데 결국은 안 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순우리말로 알고 일상으로 사용하는 단어들도 실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게 매우 많다. 이런 단어들은 한자를 이용하여 뜻을 파악하면 그 뜻이 보다 더 명료해지는데 국어사전은 한자 뜻풀이는 없이 그냥 한자만 병기한 다음에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아무리 하여도’라는 뜻풀이만 해놓았다.

어원은 알 필요 없이 그저 언중(言衆)에 의해 현재 사회에 드러난 뜻대로만 사용하자는 심사가 반영된 풀이이다. 국어의 왜곡과 오용이 심히 우려되는 부분이다. 한글은 한자와 함께 사용할 때 더욱 편리하고 빛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준, 기준금리 동결…4.25~4.5%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어버이날 인사말 고민? 2025 어버이날 문구 총정리
  • "'효심'으로 대하니 만족도도 올라가요" 우리은행 시니어 점포 가보니 [그레이트 시니어 上]
  • 챔스 결승전 대진표 완성…'빅 이어' 주인공은?
  • '골때녀' 월드클라쓰, 4회 우승 저력 어디갔나⋯구척장신에 1-3 패배 '멸망전' 위기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불발...“다시 만나잔 약속도 없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09: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656,000
    • +0.22%
    • 이더리움
    • 2,572,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46,000
    • +2.73%
    • 리플
    • 3,013
    • -1.25%
    • 솔라나
    • 209,200
    • +0.34%
    • 에이다
    • 952
    • -1.04%
    • 이오스
    • 1,151
    • +17.21%
    • 트론
    • 354
    • +2.02%
    • 스텔라루멘
    • 369
    • -0.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50
    • -0.38%
    • 체인링크
    • 19,600
    • +0.1%
    • 샌드박스
    • 390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