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도 바보가 아닌 이상 어떤 정책을 발표하는지 다 보고 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본지와 만나 “전국의 소상공인들이 이번 대선에서 소상공인 공약이 제대로 수립되고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세력을 눈여겨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소상공인들은 유례없는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국내 자영업자 수는 550만
정기예금 평균금리 하향 추세 속 연 3% 이상 금리 상품 속속 출시
일부 저축은행이 금리인하 기조에도 불구하고 예금상품 금리를 잇달아 인상하고 있다. 수신잔액 감소로 유동성 확보가 시급해지자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96%로, 이달 초(2.98%)
올해 1분기 평균 NIM 1.56%지난해 동기 대비 0.08%p 하락중기·자영업자 대출문턱 높아질 우려은행권 "조달비용 관리, 적극 방어"
국내 주요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일제히 하락했다. 기여도가 큰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역대 최대로 벌어졌지만 수익성에 외려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
콘퍼런스콜 "대출 성장 효과, 2분기부터""연체율 악화는 2~3분기 내로 관리"
iM금융그룹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1117억 원 대비 38.1% 증가한 1543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iM금융의 호실적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요인이 줄어든 데 기인한다. 그룹 충당금 전입액은 701억 원으로
제2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저축은행 업종은 올해도 업황 개선 기대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PF 부실 자산 정리에도 저축은행의 자본건전성 수준은 모니터링 대상에 올랐다. 신용평가사는 향후 부동산, 실물경기 회복 지연으로 인해 저축은행 업계의 여신 둔화를 예상했다.
28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DGB→iM' 변경 후 첫 실적발표1분기 순이익 시장 기대치 웃돌아 iM증권 흑자전환…iM뱅크 4.7%↑
iM금융그룹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1117억 원 대비 38.1% 증가한 1543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1분기 호실적은 전 계열사에 걸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요인이 사라진 것이 견
SK증권은 28일 신한지주에 대해 적극적 주주환원으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기존 목표주가 7만3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신한지주의 올해 1분기 지배순이익은 전년 대비 12.6% 증가한 1조4883억 원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다”며 “순이자마진(NIM)은 금리 하락에도 조달 측면에서 비용 절감으로
◇SK
자사주 소각 의무화로 가는 길목에서
자사주 제도개선 시행되었으나 이사회의 형식적인 검토 및 승인 등으로 천편일률적인 답변 공시 ⇒ 지배주주의 지배력 강화 수단으로 활용 반증
이번 대선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쟁점으로 부각⇒주주환원 측면에서 주주들 자사주 소각 요구 커지면서 동사 자사주 중 일정부분 소각 할 듯
이상헌 iM증권 연구원
◇하나금융지
KB금융 1.7조, 신한 1.5조, 하나 1.1조 증가우리금융 25% 감소한 6156억 원 기록전통 수익원 은행이 견인…NIM 소폭 상승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올해 1분기 기준 사상 최대인 5조 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희비는 보험계열사가 갈랐다. KB·신한·하나금융은 주요 계열사인 보험사의 순이익 급증에 힘입어 기대 이
불황 여파 주요 카드사 연체율 최고치 경신신용불량 개인사업자 1년 만 28.8% 급증
경기 불황으로 서민 주머니 사정이 악화하면서 1분기 신용카드 연체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불량자가 된 개인사업자들도 1년 사이 30% 가깝게 늘어났다.
27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은행계 카드사(신한·KB국민·하나·우리카드)들의 3월 말
콘퍼런스콜 "부동산 PF 충당금 불확실성은 제거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리스크 관리 집중"
BNK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33.2%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여신 확대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 영향이 컸다. BNK금융 이사회는 이날 주당 120원의 현금 배당 실시를 결정했다.
25일 BNK금융에 따르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보통주자본비율 0.26%p 개선주당 120원 현금 배당 실시
BNK금융그룹은 실적공시를 통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1666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29억 원(-33.2%) 줄어든 수준이다. 실적이 악화한 데에는 이자이익 감소 및 대손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실 여신 증가로 인해 그룹 충당금
순익 1조4883억…1분기 기준 역대 최대안정적 자본비율 유지 및 일관된 주주환원 추진BIS자기자본비율 15.97%·CET1비율 13.27%
신한금융지주가 올해 1분기 1조4883억 원을 시현했다.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된 데다 지난해 1분기 발생한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효과가 소멸되면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증가한 1조1277억 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그룹의 1분기 핵심이익은 이자이익(2조2728억 원)과 수수료이익(5216억 원)을 합한 2조79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609억 원) 증가했다.
수수료이익은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
신한카드의 1분기 순이익이 1년 새 30%가량 줄어들었다.
신한카드는 25일 지난 1분기 당기순이익이 135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7%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내수 부진, 경기 침체 등 비우호적인 대외 환경으로 인해 리스크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연체율 안정화 지연으로 인한 대손 비용 부담이 증가한 데 따
삼성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이 2000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판매와 카드 대출 등 모든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삼성카드는 25일 지난 1분기 당기 순이익이 184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1조67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4
하나증권이 25일 KB금융에 대해 진정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대주로 재평가될 것으로 기대했다. 목표주가 11만5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전일 종가는 8만4600원이다.
KB금융은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2.9%, 전분기 대비 148.1% 증가한 1조7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다. 은행 원화대출이
2월 기준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0.58%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8%로 전월 말 0.5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 전년 동월 말 대비로는 0.07%p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2조9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 원 감소
JB금융지주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기업대출 부문에서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면서 주요 자회사인 전북ㆍ광주은행 실적이 하락한 영향이다. 반면, JB우리캐피탈 등 비은행 자회사 실적 개선이 은행 부문의 부진을 일부 상쇄해 지주 전체의 순이익 감소 폭을 줄였다.
24일 JB금융에 따르면 올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지분)은
KB국민카드는 1분기 당기순익이 전년 대비 546억 원 감소한 845억 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민카드는 1분기 영업수익 1조3929억 원을 거둬들여 전년 동기(1조3519억 원) 대비 3%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53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성장했으나 당기순익은 감소했다.
KB금융지주는 “가맹점 수수료율 조정에 따른 수수료 감소와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