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과 무역 마찰 해소에는 “中에 달려”
기업 실적 발표 주목…주요 경제 지표도
뉴욕증시가 28일(현지시간) 미국의 관세 협상에 주목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14.09포인트(0.28%) 오른 4만227.59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4포인트(0.06%) 상승한 5528.75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6.81포인트(0.10%) 하락한 1만7366.13에 거래를 끝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협상을 주시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경제 전문 매체 CNBC방송에서 당분간 중국에 대한 대응을 뒤로하고 15~17개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중국과 접촉하고 있지만 관세 분쟁에서 긴장 완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것은 중국 측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인도가 첫 번째 거래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협상이 진전되면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정책이 완화돼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됐다.
관련 뉴스
다만 중국과의 무역 마찰이 해소될지는 “중국에 달렸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중간 협상 재개를 위해 중국에 전화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중요한 문제”라며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도 현 상황이 지속 가능하다고 보지는 않을 것”이라며 “언젠가 그들이 먼저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올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은 실적 전망과 경영진의 발언을 통해 관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망세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메타, 아마존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이 실적을 내놓는다. 또 국내총생산(GDP)과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고용통계 등 중요한 경제데이터 발표도 잇따른다.
다니엘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연구원은 “기술주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높이는 실적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관세를 둘러싼 우려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 필수소비재, 기술 분야가 약세를 보였다.
아메리프라이즈 파이낸셜의 앤서니 새글림빈 수석 시장 전략가는 “이번 주는 상당히 바쁜 한 주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무역 관련 뉴스가 이어지고 경제 지표도 쏟아진다. 매그니피센트7(M7)을 포함한 기업들의 실적 발표 시즌도 절정에 달한다. 투자자들에게는 정신없는 한 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31포인트(1.25%) 오른 25.15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