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리 “국가별 단독 방어는 한계⋯미국도 해당될 수 있어”

입력 2025-05-22 16: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 포함 동맹국 간 무기 공동 개발 촉구
중국ㆍ북한 등으로부터 미사일 위협↑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1일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로이터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1일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로이터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2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반에 걸친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미국을 포함해 동맹국들이 무기 및 기타 방위 장비 개발에 있어 협력 강화를 촉구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도쿄 외곽에서 열린 일본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컨퍼런스(DSEI)에서 “어느 한 나라가 단독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이는 미국에도 해당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장비 이전, 공동 개발 및 공동 생산을 포함한 방위 장비 협력을 통해 동맹국들과 강력한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하나의 국가가 연구개발의 비용과 리스크를 혼자 감당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해졌다”면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아침에 쓰던 기술이 저녁이면 구식이 되는 시대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군사 장비의 기술 변화 속도와 관련한 비용 부담이 커짐에 따라, 비슷한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블룸버그는 중국ㆍ북한 등 국가들로부터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전 세계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세계 최강 군사대국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20일 우주 공간 및 기술을 활용해 미국 본토를 지키는 미사일방어(MD)망 ‘골든돔’을 자신의 임기 중에 실전 배치하겠다고 선언했다.

일본 또한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미국과 공동으로 극초음속 미사일을 요격하는 요격기 개발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중국은 기존의 방어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려운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비행한 바 있다.

일본은 국방 산업을 강화하기 위한 군사 지출도 대폭 늘리고 있다. 2022년 5년에 걸쳐 군사력 증강을 위해 43조 엔(약 414조 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비율을 기존의 약 1% 수준에서 2%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ㆍ이탈리아와의 국제 협력을 통해 2035년 배치를 목표로 6세대 전투기도 개발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90,000
    • -0.83%
    • 이더리움
    • 3,371,000
    • -3.8%
    • 비트코인 캐시
    • 654,000
    • -3.82%
    • 리플
    • 2,959
    • -0.74%
    • 솔라나
    • 195,000
    • -3.61%
    • 에이다
    • 809
    • -2.18%
    • 트론
    • 381
    • +1.06%
    • 스텔라루멘
    • 339
    • -1.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40
    • -3.54%
    • 체인링크
    • 17,530
    • -3.15%
    • 샌드박스
    • 349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