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화원전 기술 안정화도 배경
건설능력ㆍ기술력 등에서 한국 유리

스웨덴 의회가 원자력발전(원전) 신규 건설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을 가결했다. 벨기에와 덴마크도 탈원전 정책 폐기에 나섰고, 대연정에 나선 독일 정부도 이를 검토하겠다고 공약했다. 탈원전이 가속할 경우 수혜국 가운데 하나로 한국이 손꼽힌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스웨덴 의회가 신규 원전 건설 지원법안을 가결했다. 에바 부슈 스웨덴 에너지장관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역사적인 날"이라며 "오늘 의회의 결정은 균형 잡힌 원전 자금 조달과 더욱 견고한 기반 전력 구축을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스웨덴 정부는 5000㎿(메가와트) 규모의 원전 4기 혹은 같은 규모의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새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전체 계획의 절반 정도는 2035년부터 가동하는 게 목표다.
벨기에도 '원전 부활'을 선언했다. 벨기에 의회는 15일 새로운 원자로 건설 허용 등을 골자로 한 연방정부의 원전 산업 부활 법안을 가결했다. 22년 전의 '탈원전 공약' 폐기를 공식화한 셈이다. 애초 지난 2003년 일찌감치 탈원전을 선언하고 원전 가동 기한을 40년으로 제한하는 등 올해까지 모든 원전 가동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방침이었다.
독일 내각도 탈원전 폐기를 검토 중이다. 차기 연정을 주도하는 CDU는 “탈원전 정책 폐기를 검토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관련 뉴스
원전의 부활은 인공지능(AI) 붐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와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원자력 발전에 관한 관심이 다시 커지면서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소형모듈원전(SMR) 기술의 안정화도 원전 부활의 배경으로 꼽힌다.
이 과정에서 한국이 수혜국이 될 수 있다는 외신의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15일 원전 건설에 따르는 막대한 비용과 긴 공사 기간, 각국의 규제와 정치적 반발 등으로 세계 원전 산업이 위축된 상황에서 "원전 수출에선 비교적 신흥국인 한국이 수익성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엔지니어링·건설·유틸리티·금융 등 유관 분야가 '팀 코리아'를 이뤄 움직이면서 네트워크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한국의 강점이라고 소개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한국이 여전히 원전 강국들에는 뒤처진 상태”라면서 국내 혼란과 정치적 변화도 변수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