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가상자산 활성화…국민연금 등 투자 허용"

입력 2025-04-27 09: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4일 오후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  후보가 토론 전 리허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투데이DB)
▲24일 오후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 후보가 토론 전 리허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투데이DB)

김문수 국민의힘 예비후보는 국민연금 등의 투자를 허용하는 방안이 담긴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 및 산업 육성 전략’ 공약을 27일 발표했다.

김 후보 캠프의 정책본부장을 맡은 박수영 의원은 “주식시장 투자자들을 140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가상자산 시장 투자자들은 1600만 명으로 큰 시장인데도 아무런 법도 없고 규제도 없고 방치된 상황”이라며 “신속하게 입법하고 제도를 만들어 산업 육성과 감시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자산 산업 육성’ 방안을 밝혔다. ‘국민연금·KIC 등 정부기관의 투자 허용’, ‘가상자산 ETF 상품 거래 허용’,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직접투자 제한 폐지’ 등이다. 가상자산 거래를 인정한 여러 국가의 사례를 토대로 국내 적용이 가능한 제도부터 시행하자는 것이다.

또 부작용 방지책도 제시했다. 김 후보는 “국민을 보호하고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성장과 동시에, 가상자산의 관리·감독 체계 등을 마련해 마약거래 및 범죄거래 활용, 해킹 등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감시·감독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가상자산비서관’을 신설해 이용자를 보호하고, 디지털자산의 육성과 감독 업무를 총리실 산하 ‘디지털자산위원회’로 이전해 복합 육성 업무를 담당하게 할 계획이다.

가상자산비서관은 대통령실 민정수석실 산하에 설립해 국정원, 경찰, 검찰과의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가상자산이 마약에 악용되고 북한에 해킹되는 것을 방지한다.

금융위 산하 가상자산 업무는 국무총리실로 이전해 상하에 위원회를 설치한다. △ICO위원회 △가상자산 전담 FIU실 △가상자산업실을 설치해 가상자산의 융합적 생태계에 맞게 업무를 총괄한다.

김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에 적응하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744,000
    • -0.86%
    • 이더리움
    • 3,552,000
    • -5.81%
    • 비트코인 캐시
    • 601,000
    • -0.25%
    • 리플
    • 2,989
    • -3.05%
    • 솔라나
    • 204,500
    • -6.02%
    • 에이다
    • 890
    • -5.22%
    • 트론
    • 373
    • -1.32%
    • 스텔라루멘
    • 362
    • -4.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00
    • -2.3%
    • 체인링크
    • 18,660
    • -5.47%
    • 샌드박스
    • 370
    • -4.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