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물가·민생사업 추경 1.5조 규모…체감물가 완화"

입력 2025-04-18 13: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8일 "정부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700억 원, 온누리상품권 환급 1조4000억 원 등 1조5000억 원 규모의 물가·민생 안정 관련 사업을 담아 체감물가 부담 완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최근 국제유가가 하락 추세지만 농축수산물·가공식품 등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물가·민생안정 관련 추경사업 △산불 피해지역 농작물 수급영향 점검 △농축수산물·가공식품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 계획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농산물의 경우 가격이 높은 배추·무 등 채소류 할인 지원(4월 17~23일)을 지속 추진하고 무는 직수입 물량 4000톤을 5월 말 봄무 출하 전까지 집중 공급할 계획이다. 최근 가격 상승세인 계란도 현장조사를 통해 산지 가격, 유통구조 등을 점검하고 필요 시 가격 안정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수산물은 4월 금어기 수급 안정을 위해 15일부터 대중성 어종 6개 품목 비축물량 약 5000톤을 시중에 공급하고, 이달 30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전국 마트·온라인몰 등에서 고등어·갈치·김 등을 최대 50% 할인하는 '대한민국 수산대전'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민생부담 경감을 위해 온누리상품권 환급도 확대한다. 작년 월평균 카드소비액 대비 증자한 월 카드소비액의 20%를 익월 중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1조3700억 원 규모의 상생페이백 사업을 신규 추진할 계획이다. 온누리상품권 결제액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행사를 설 기간과 3월 동행축제 기간에 이어 추가로 시행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추경안이 국회에서 확정되는 대로 사업이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소관 부처는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이지와 비욘세, 美 대중음악 큰 손들의 '억소리' 나는 차량 컬렉션 [셀럽의카]
  • 인기게임부터 인디게임까지…볼거리 많았던 '플레이엑스포 2025' [딥인더게임]
  • "못생겼는데, 또 귀여워"…요즘 젠지가 꽂힌 인형 '3대장' [솔드아웃]
  • “왜 이렇게 진심인 건데요”…하이보이즈 음방 소환, ‘언슬전’ 세계관 과몰입 [요즘, 이거]
  • 올 여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평년보다 더 덥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에도…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안갯속'
  • "너 내 동료가 돼라"…'포섭력 갑' 대선주자는 [왕이 될 상인가]
  • “개인리뷰 덕에 잘 팔려요”…이커머스, 커뮤니티 관리에 올인하는 이유[유승호의 유노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890,000
    • +0.2%
    • 이더리움
    • 3,713,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611,000
    • +1.92%
    • 리플
    • 3,389
    • +0.44%
    • 솔라나
    • 258,100
    • +3.7%
    • 에이다
    • 1,138
    • +2.15%
    • 이오스
    • 1,085
    • +1.5%
    • 트론
    • 382
    • +0%
    • 스텔라루멘
    • 422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00
    • -0.46%
    • 체인링크
    • 23,530
    • +1.91%
    • 샌드박스
    • 471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