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슈진단, 디지털 PCR 장비 ‘디지털 라이트사이클러 애널라이저’ 출시

입력 2024-06-27 09: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존 PCR 방식으로 검출 불가한 미량의 특정 DNA와 RNA 표적 정량화 가능

▲한국로슈진단의 차세대 디지털 PCR 장비 ‘디지털 라이트사이클러 애널라이저(Digital LightCycler Analyzer)’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한국로슈진단의 차세대 디지털 PCR 장비 ‘디지털 라이트사이클러 애널라이저(Digital LightCycler Analyzer)’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한국로슈진단은 디지털 유전자 증폭 반응(Digital PCR, dPCR) 장비인 ‘디지털 라이트사이클러 애널라이저(Digital LightCycler Analyzer)’가 최근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으로부터 인증을 받고 국내 정식 출시됐다고 27일 밝혔다.

이 제품은 질병 진단을 위해 기존의 실시간(Real-Time) PCR 방식으로는 검출할 수 없는 미량의 특정 DNA와 RNA 표적을 정량화한다. 이를 통해 임상의나 연구자가 암 진단, 유전 질환 또는 감염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차세대 장비는 칩 기반(chip-based)의 디지털 PCR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액체방울 기반(droplet-based)의 디지털 PCR 방식과 달리 액체방울을 생성하는 과정이 없어 검사자가 더 단순화된 워크플로우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검체에서 추출한 DNA 또는 RNA를 2만~10만 개까지 미세 반응 단위로 나눌 수 있는 3가지 나노웰플레이트(nanowell plate)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는 고도로 정밀한 유전자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샘플을 나노웰플레이트에 분할하고, PCR 검사를 진행하며, 이미지를 자동으로 데이터화해 빠르게 정확한 값을 제공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검사 결과 관리 측면에서도 분석 결과를 바로 엑셀 파일로 추출해 사용할 수 있도록 특화돼 있어 결과 관리가 용이하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분석 결과를 손쉽게 정리하고, 쉽게 샘플을 추적하여 검사 결과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는 “디지털 PCR 기술은 종양학과 감염병 분야에서 뛰어난 민감도를 통해 암 유전 질환의 조기진단을 판별하고 치료 후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미세한 암세포를 검출할 수 있어 치료 효과와 재발 위험 예측을 가능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12,000
    • -0.45%
    • 이더리움
    • 2,634,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1.34%
    • 리플
    • 3,133
    • -0.25%
    • 솔라나
    • 211,100
    • -0.28%
    • 에이다
    • 988
    • -2.37%
    • 이오스
    • 997
    • -5.14%
    • 트론
    • 355
    • +1.14%
    • 스텔라루멘
    • 388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850
    • +0.09%
    • 체인링크
    • 20,310
    • -0.83%
    • 샌드박스
    • 398
    • -2.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