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 충격' 한ㆍ중ㆍ일 제조업 "내년 평균 4~7% 매출 ↓"

입력 2025-04-3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계획은 韓·日 “변경 없음”…中 “투자 확대”도 고려
미국 현지 생산 확대보다 “원가·비용 절감 우선”
정부에 “관세 감축 외교 노력 촉구”

(한경협)
(한경협)

미국의 품목별ㆍ상호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면 내년 한중일 제조기업의 매출액이 평균 4~7%가량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등 주력 수출업종은 최대 10%까지 매출 타격을 입을 것이란 전망이다.

3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3국의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美 관세 정책 등에 관한 한·중·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국의 품목별·상호 관세 조치가 본격화될 경우 내년도 매출액이 평균 4~7%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내년 매출 감소 예상치는 △한국 기업 평균 –4.0% △중국 기업 평균 –6.7% △일본 기업 평균 –7.2%였다.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반도체·전자 △자동차·자동차부품 △기계 및 산업장비 △철강 및 금속제품 등 주력 수출업종에서 5~10% 이상 매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국은 △기계 및 산업장비가 –12.2% 중국은 △철강 및 금속제품이 –11.7% 였다.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 –10.4%로 각각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3국 평균으로 살펴보면 철강 및 금속제품이 가장 큰 감소폭(–10.3%)을 보일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협)
(한경협)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한 정책에 대응한 투자계획의 조정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은 "투자계획 변경 없음"(74.3%)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일본 기업 또한 61.4%가 "변경 없음"이라고 답했다. 중국 기업은 "변경 없음"(38.6%) 다음으로 "투자 확대"(28.7%)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배경으로 대규모 정부 보조금에 기반한 전략기술 자립화 정책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미국이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한·중·일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보다는 원가·비용 절감을 우선 대응 전략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
(한경협)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묻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 46.0%, 중국 기업 61.0%, 일본 기업 41.0%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꼽았다. 세 나라 모두 해당 항목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 응답은 한국 기업 11.0%, 중국 기업 17.0%, 일본 기업 21.0%로 일본 기업이 가장 높았다.

지역무역협정(RCEP, CPTPP, 한·중·일 FTA 등)이 미국 관세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지 묻는 질문에 중국 기업들은 동의 수준이 75.2점(100점 기준)를 보였다. 한국 기업은 △동의(38.6점)가 △비동의(12.9점)보다 약 세 배 높았다. 일본 기업은 △비동의(22.8점)가 △동의(20.8점)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한경협)
(한경협)

미국의 관세 리스크로 인한 대외여건 및 경영환경 불확실성을 대응하기 위해 한·중·일 기업들은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우선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다만 공통적으로 정부에 △세금 감면(한국 58.0%, 일본 41.0%) △재정 또는 보조금 지원(한국 58.0%, 일본 39.0%),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한국 46.0%, 일본 58.0%) 등을 희망했다.

중국 기업은 △신시장 개척 지원(60.0%)과 △관세 감축 외교 노력(58.0%) △국내 산업 투자(47.0%) 순으로 정부 역할을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871,000
    • -0.94%
    • 이더리움
    • 2,624,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29,500
    • -3.38%
    • 리플
    • 3,163
    • -0.57%
    • 솔라나
    • 212,200
    • -1.67%
    • 에이다
    • 1,025
    • +0.79%
    • 이오스
    • 1,056
    • -0.38%
    • 트론
    • 354
    • +0.85%
    • 스텔라루멘
    • 392
    • -1.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350
    • -6.4%
    • 체인링크
    • 20,720
    • -1.94%
    • 샌드박스
    • 417
    • -3.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