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자신없는 분들이 단일화 조건 걸어...패배주의 아닌가” [종합]

입력 2025-04-28 12: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당선되면 세종서 상당 근무...행정 수도 이전에 개헌 필요”
충무공 탄신일 기념 현충사 찾아 국방·안보 정책 발표
‘한국형 4축 체계’ 구축...K방산 수출 직접 지휘

▲25일 오후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1층 로비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후보가 사전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일대일 맞수 토론은 2차경선 진출자 4명이 일대일 맞수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다. 대진표는 23일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 순서대로 일대일 토론 상대를 지목했다. 김 후보가 한 후보를, 안 후보가 김 후보를 골라 토론이 성사됐다. 한 후보와 홍 후보는 서로 지목했다. 국회사진취재단
▲25일 오후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1층 로비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후보가 사전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일대일 맞수 토론은 2차경선 진출자 4명이 일대일 맞수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다. 대진표는 23일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 순서대로 일대일 토론 상대를 지목했다. 김 후보가 한 후보를, 안 후보가 김 후보를 골라 토론이 성사됐다. 한 후보와 홍 후보는 서로 지목했다. 국회사진취재단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단일화 방식이 거론되는 데 대해 “승리하는데 자신없는 분들이 자꾸 말을 바꿔가면서 조건들을 붙여가는 것 같다”며 “그건 패배주의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이날 충남 아산 현충사에서 개최한 국방정책 비전 발표 기자회견에 이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의힘의 경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꾸 그런 얘기하는 것이 좋아 보이지 않는다. 제가 이길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시로 옮기는 등 행정 수도 이전 문제에 대해선 “대통령 제2 집무실을 세종에 만드는 것은 이미 진행 중이고, 대통령이 되면 세종에서 상당한 시간을 근무하게 될 것”이라며 “다만 행정 수도 이전까지 가려면 결국 개헌이 필요한 문제이고, 개헌 과정에서 폭넓은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한 후보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탄신일을 맞아 충남 아산 현충사를 찾아 참배한 뒤 국방·안보 정책을 발표했다. 그는 “핵잠재력 확보와 한국형 4축 체계 구축을 통해 우리의 독자적 안보 역량 강화하고, 대통령실 방위산업비서관 신설로 대통령이 K-방산수출 오케스트라 직접 지휘하겠다”고 밝혔다.

한 후보는 “킬체인, KAMD((한국형미사일방어), 대량응징보복의 한국형 3축 체계에 사이버전자·정보전을 도입한 ‘한국형 4축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북한의 핵 사용 징후가 보이면 먼저 북한의 핵 지휘통제체계 등을 마비시키는 소프트킬(Soft-kill) 작전 개념을 도입해 북한의 핵 사용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조선·해운 등 해양력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지금, 해양안보를 더욱 굳건히 해야 한다”며 “해양경제, 해양안보 등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통합조정기구인 ‘국가해양위원회’를 신설해 경제안보 시대의 해양 패권 경쟁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했다. 이어 “일본 수준의 핵잠재력을 확보해 북한에 대한 우리의 독자적인 핵 억지력 보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한국형 군 보상 평가서(QRMC)를 도입해 초급·중견간부의 연봉을 중견기업 수준으로 올리고, 참전용사와 예비역들에게 정당한 예우를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한 후보는 “방산과 관련된 주요 주무부처 업무를 통합해 운영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만들어 대통령이 K방산 수출 오케스트라를 직접 지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방산 전용 자금운영 계정 신설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상호국방조달협정(RDP-A) 체결 △현지 법인이나 생산시설 건립시 발생하는 기술료 면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인공지능(AI), 우주·위성, 드론, 로봇 등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국방 신산업 분야 육성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그는 “국방과학연구소, 국내 방산업체, 민간연구기관이 함께하는 연구개발(R&D) 컨소시엄 구성으로 공동연구개발 추진하겠다”면서 “민간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우주 관련 국가 인프라의 민간 활용을 확대하고 국제협력 우주사업 추진 시 금융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68,000
    • +4.69%
    • 이더리움
    • 3,037,000
    • +18.82%
    • 비트코인 캐시
    • 589,000
    • +15.38%
    • 리플
    • 3,220
    • +6.94%
    • 솔라나
    • 226,600
    • +8.94%
    • 에이다
    • 1,060
    • +12.77%
    • 이오스
    • 1,183
    • +5.72%
    • 트론
    • 360
    • +1.98%
    • 스텔라루멘
    • 404
    • +10.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10.02%
    • 체인링크
    • 22,050
    • +13.78%
    • 샌드박스
    • 443
    • +15.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