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탈당 두고 갑론을박…“최소한의 책임” vs “시체 난도질은 도리 아냐”

입력 2025-04-18 14: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2월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투데이DB)
▲윤석열 대통령이 2월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투데이DB)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요구가 나오면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사이에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예비후보는 1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 전 대통령은 이제 탈당 결단을 내리셔야 한다”며 글을 올렸다.

안 후보는 “탄핵된 전직 대통령의 탈당은 책임정치의 최소한”이라며 “정치적 공동책임을 진 정당이 재정비할 수 있는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대 대통령들도 임기 중 당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이유로 탈당했다”며 “하물며 탄핵된 전직 대통령에게 탈당을 국민과 당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이다. 스스로 당을 떠나는 것이 우리 당 쇄신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 “당의 혁신과 대선 승리를 위해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안 후보는 “이대로면 대선은 필패”라며 “전직 대통령을 방어하는 정당은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은 본인이 당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며 “탄핵을 부정하는 후보들이 체제 전쟁에 몰두하면서 민생과 경제성장 의제는 이미 빼앗겼다”고 비판했다.

홍준표 국민의힘 예비후보는 이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하라’는 소리 하기가 참 난감하다”며 “우리 당 후보로 정권 교체를 해 줬고, 물론 3년 동안 정치를 잘못해서 탄핵은 됐지만 시체에 또 난도질하는 그런 짓을 하는 건 도리가 아니다”고 반대했다.

그러면서 “안 후보는 당을 하도 많이 옮겨봤으니까 그게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 난 시체에 다시 소금 뿌리는 그런 생각으로는 정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홍 후보는 “탄핵됐으니 이제 지나가 과거가 됐고, 뭉쳐서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재차 “‘보수 재건을 위해, 이재명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정상화를 위해’ 탄핵당한 전 대통령께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달라는 것이 ‘시체에 난도질’인가”라고 반박했다. 그는 홍 후보를 향해 “오로지 본인의 정치적 이득만을 생각하는 행보가 낯이 뜨겁다. 이미 ‘패배선언’”이라고 비판했다.

안 후보는 “지금 필요한 건 미화도, 변명도 아닌 책임”이라며 “지금이 국민 앞에 고개를 들고 다시 설 수 있는 당의 마지막 기회”라고 적었다.

한편, 한동훈 국민의힘 예비후보는 “윤 전 대통령은 과거로 놔드리자”며 “우리는 미래로 가자”고 짤막하게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기차 시대 ‘정비 기사’가 없다…차세대 제조업 병목 [장인 없는 제조강국 下]
  • LG 트윈스와 손잡은 유플러스, ‘일상의틈’으로 프로야구 팬덤 공략 [가보니]
  • 은행 주담대 충족 신용점수 ‘940점’…밀려나는 중ㆍ저신용자들
  • '골때녀' 발라드림, 구척장신에 3-1 승리⋯새 맴버 장예원 해트트릭 달성
  • ‘2025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재빠른 수령 방법은? [그래픽 스토리]
  • 손흥민 첫 우승컵, 토트넘 레전드 된 캡틴 [종합]
  • "이게 연프야, 서바이벌이야?"…'데블스 플랜2'가 놓친 본질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재정적자 부담’ 감세 예산안 통과 전망에 하락…다우 1.91%↓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10: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283,000
    • +1.95%
    • 이더리움
    • 3,602,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579,000
    • +4.51%
    • 리플
    • 3,345
    • +0.94%
    • 솔라나
    • 243,400
    • +2.7%
    • 에이다
    • 1,081
    • +3.25%
    • 이오스
    • 1,053
    • -4.36%
    • 트론
    • 375
    • -1.06%
    • 스텔라루멘
    • 411
    • +1.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700
    • +15.28%
    • 체인링크
    • 22,580
    • +2.22%
    • 샌드박스
    • 450
    • +2.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