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PEF 공급망 위기 대응 모의훈련 주도…“감염병 위기 속 신속 공조체계 점검”

입력 2025-05-2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약품 수급 시나리오 기반…CRN 실효성 높이고 회원국 교육도 확대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정부가 인도태평양 지역의 공급망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 공조체계 점검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위기대응네트워크(CRN)’ 의장국으로서 회원국 합동 공급망 위기대응 모의훈련을 화상으로 주관했다.

이번 훈련은 공급망 위기 발생 시 신속 공조체계의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실질적인 대응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은 특정 회원국(A국)에서 감염병 확산으로 치료제 부족 사태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A국이 한국에 긴급 회의 개최를 요청하고 역내 공조를 이끌어내는 시나리오로 진행됐다. 한국은 공급망 컨트롤타워로서 수출국과 수입국 간 △생산 증대 △비축분 대여 △대체 수입선 공유 △공동 구매 협력 △신속 허가·통관 등의 지원 방안을 종합적으로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훈련은 보다 실제 상황에 가까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의약품 담당 부처도 참여해 훈련의 실효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산업부는 "공급망 전문가 워킹그룹에서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정교화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과 호주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IPEF 회원국 대상 공급망 역량강화사업의 세부 내용도 이날 훈련을 계기로 소개됐다.

양국은 피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인도, 태국 등 7개국을 대상으로 2025년부터 2026년까지 국가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회원국 간 우수 정책 사례를 공유하고, CRN 운영체계 개선방안도 논의했다.

훈련을 주재한 이재근 산업부 신통상전략지원관은 “회원국들의 협력과 연대 덕분에 더욱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불확실한 대외환경 속에서 CRN이 인도태평양 지역 공급망 회복력과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하도록 지속 협력하자”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하반기 CRN 모의훈련을 한국에서 대면 방식으로 개최하고, 한·호주 공동 역량강화사업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12,000
    • -0.86%
    • 이더리움
    • 3,372,000
    • -3.82%
    • 비트코인 캐시
    • 654,000
    • -3.89%
    • 리플
    • 2,961
    • -0.67%
    • 솔라나
    • 195,200
    • -3.46%
    • 에이다
    • 809
    • -2.06%
    • 트론
    • 381
    • +0.79%
    • 스텔라루멘
    • 339
    • -1.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40
    • -3.54%
    • 체인링크
    • 17,540
    • -2.99%
    • 샌드박스
    • 349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