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치면 후회"...2025 서울축제 총정리

입력 2025-03-15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개최된 <2024 서울시향 강변음악회>.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개최된 <2024 서울시향 강변음악회>.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 ‘2025년 주요 문화예술 축제’ 일정이 공개됐다.

꽃 피는 봄에는 문화와 관광, 레포츠를 아우르는 다양한 축제들이 열린다.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열리는 ‘서울스프링페스타’는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관광 축제로, 전 세계가 주목하는 ‘K-컬처’의 다양한 매력을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3-빅쇼, 3-테마공간 등을 대표로 월드컵경기장, 서울광장 등 서울 전역이 음악과 빛으로 물든다.

어린이날 주간과 연계해 노들섬에서 열리는 ‘서울서커스페스티벌(5.3.~5.5.)’은 온 가족이 즐길만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국내외 서커스 공연 및 서커스 관련 전시, 영화, 퍼레이드 등이 펼쳐진다.

올해 27회를 맞은 ‘서울드럼페스티벌(5.10.~5.11.)’은 대표 음악 축제로, 경연대회는 4월 26일, 본 축제는 5월 10~11일 양일간 노들섬에서 개최된다. 타악기 공연은 물론 다양한 장르와 협연, 밴드공연, 체험 프로그램 등이 함께하는 종합예술축제로 꾸며진다.

작년 총 관람객 780만 명이 다녀간 ‘서울국제정원박람회(5.22.~10.20.)’는 올해 ‘SEOUL, GREEN SOUL’을 주제로 보라매공원 일대에 특화정원 조성, 정원산업전, 정원문화프로그램 등을 선보인다.

이외에 야외에서 즐기는 운동·놀이 축제인 서울러너스페스티벌(4.26.),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5.4.~6.22.)에도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을 더해질 예정이다.

뜨거운 여름에는 예술의 열정이 가득한 축제들이 마련된다.

‘서울시향 강변음악회(6.13.~6.14.)’는 여의도 한강공원 멀티플라자에서 여름밤 낭만적인 한강을 배경으로 클래식, 오페라 등 다양한 음악을 서울시향의 오케스트라 연주로 선보인다.

‘서울썸머바이브(6.13.~6.14.)’은 음악, 댄스, 패션, 아트, 스포츠 등 다양한 ‘거리(스트리트)’ 문화를 담은 축제로, 노들섬에서 뜨거운 여름을 즐길 수 있는 공연, 전시, 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올해 3회를 맞은 ‘서울시오페라단의 야외오페라(6.1.~6.2.)’는 W.A.모차르트의 <마술피리>를 선보인다. 광화문광장을 방문하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세종썸머페스티벌(8.28~8.30.)’은 DJ, 현대무용, 스트리트 댄스 등 예술성과 대중성, 축제성을 갖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인다. 여름밤 모든 시민이 어울려 춤추며 즐길 수 있는 짜릿한 축제로 준비한다.

‘축제의 계절’ 가을에도 대표 축제들이 줄줄이 선을 보인다.

매년 100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모이는 ‘서울세계불꽃축제’는 올해 추석 연휴에 따라 9월 중 개최 예정이다.

‘서울거리예술축제(10.6.~10.8. 예정)’는 추석연휴 기간 도심에서 열려 연휴의 풍성함을 더한다. 트렌드를 선도하는 ‘컨템포러리 야외 공연 예술축제’로 장르를 대폭 넓힌다.

‘서울뮤직페스티벌’은 시민들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최신 케이팝부터 인디 음악까지, 남녀노소, 연령무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인다. 11월 초 노들섬에서 개최 예정으로 상세 일정은 추후 공지한다.

겨울에도 서울은 매력이 가득한 도시다. 12월 중순 ‘서울윈터페스타’는 서울 도심 전체를 아우르는 ‘빛’ 전시를 통해 시민들을 만날 채비를 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S 공포’, FOMC 이후 더 커졌다…파월, ‘이중 위협’ 경고
  • 민주 “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상법 개정안 재추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915,000
    • +1.93%
    • 이더리움
    • 2,717,000
    • +4.46%
    • 비트코인 캐시
    • 589,000
    • +11.55%
    • 리플
    • 3,084
    • +1.82%
    • 솔라나
    • 213,900
    • +2.74%
    • 에이다
    • 998
    • +3.31%
    • 이오스
    • 1,186
    • +16.39%
    • 트론
    • 353
    • +1.73%
    • 스텔라루멘
    • 382
    • +3.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5.51%
    • 체인링크
    • 20,710
    • +5.02%
    • 샌드박스
    • 406
    • +4.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