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6조 올해 첫 추경...‘민생·안전·성장’ 핀셋투자

입력 2025-05-25 14: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약 1조6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으로 ‘민생안정’을 우선 챙긴다. 최근 시민 불안을 키운 싱크홀 사고에 대비해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하고, AI 등 미래 먹거리에도 투자한다.

25일 서울시는 올해 기정예산 48조 1545억 대비 3.4%(1조 6146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해 26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올해 첫 추경으로,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예산은 49조 7691억 원이 된다. 지난해 예산 47조2991억 원보다 2조4700억 원 늘어난 것이다.

추경의 3대 핵심축은 민생안정·도시안전·미래투자로, 총 7620억 원을 ‘핀셋 투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적재적소에 예산을 투입해 민생경제 부담을 완화하고, 지반침하 등 각종 사고로부터 시민 안전을 확보하며 AI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선제적 재정 투자로 성장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민생안정’을 위해 총 4698억 원을 투입한다. 주요 골자는 소상공인·중소기업(529억 원) 및 취약계층(2986억 원) 지원, 저출생 대책(1183억 원) 강화 등이다.

소상공인 안심통장 지원에 180억 원을 편성했다. 안심통장은 신용이 낮아 대출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저리로 최대 1000만 원까지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위기 소상공인 발굴 및 선제적 지원(64억 원), 4년간 50억 원 규모 소상공인 전용 펀드(7억 원)도 조성한다.

미국발 관세 강화로 부담이 늘어난 중소기업 대상 수출감소 긴급 융자지원에 112억 원을 투입한다. 수출기업 대상 보험료 지원(20억 원), 대미 수출대응 바우처 지원(6억 원) 예산 등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저신용·위기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는 자금지원을 비롯해 수출감소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융자로 다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디딤돌을 놓겠다”고 밝혔다.

취약계층 복지 지원에는 중장년 가치동행 일자리 확충(22억 원),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36억 원), 시립병원 비상진료체계 유지(100억 원) 등이 포함됐다. 결혼·출산·양육 전 주기를 포괄하는 맞춤형 대책도 추진한다. 서울형 공공예식장 확대(19억 원), 산후조리비(25억 원)·아이돌봄비(11억 원)·가사서비스(15억 원) 지원 확대, 키즈카페 추가 개소(21억 원) 등 저출생 맞춤형 정책도 가동한다.

‘도시안전’ 분야에 1587억 원을 투자한다. 30년 경과된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만 1352억 원을 투입해 올해 65.9㎞를 추가로 정비한다. 대형 굴착공사장 GPR탐사 강화(56억) 등을 통해 지반침하 대책을 선제적으로 가동한다. 여름철 이상기후에 의한 집중 호우에 대비해 신림 공영차고지 내 빗물저류조 설치(29억원)도 추진한다.

‘미래투자’ 분야에는 1335억 원이 편성됐다. AI 산업기반 조성에 354억 원, 각종 인프라 조성에 981억 원이 투입된다. 2026년까지 총 5000억 원 규모의 ‘AI펀드’ 조성을 목표로 예산 100억 원을 편성했다.

365일 여유롭고 펀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인프라도 확충한다. 손목닥터9988 인센티브 확대에 313억 원을 투입하고, 여의도공원 재구조화(34억 원), 노들 글로벌 예술섬 미디어 콘텐츠 조성(2억 원), 2026년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최(9억 원) 기후동행카드 청소년·군인 혜택(211억 원) 등이 포함됐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장기적인 경제 불황 속민생을 최대한 지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버팀목 지원이 핵심”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의회 의결 즉시 추경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형 "AI, 인류 최고 기술… 기후 위기 해법도 여기 있다"[미리보는 CESS 2025]
  • 동일본 이어 난카이 대지진도?…예언서 된 '내가 본 미래', 선배도 있다 [해시태그]
  • 치솟는 결혼식 비용, 일반 예식장 대비 '반값'으로 하는 방법은? [경제한줌]
  • 티메프 피해자들 “티몬 회생계획 채권 변제율, 납득할 수 없는 수준”
  • "훅·슬라이스·깨백"… 몰라서 당황한 골프 실전 용어 [골프더보기]
  • SNS 실트 오른 '러브버그', 언제 사라질까?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적정 '최저임금'은 [데이터클립]
  • 과기정통부 장관에 LG '엑사원' 개발 주도한 배경훈⋯이재명식 AI 인사 철학
  • 오늘의 상승종목

  • 06.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878,000
    • +2.02%
    • 이더리움
    • 3,112,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619,500
    • +0%
    • 리플
    • 2,785
    • +3.22%
    • 솔라나
    • 184,700
    • +2.84%
    • 에이다
    • 750
    • +3.16%
    • 트론
    • 377
    • +1.62%
    • 스텔라루멘
    • 320
    • +3.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1.23%
    • 체인링크
    • 16,220
    • +1.95%
    • 샌드박스
    • 328
    • +4.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