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 고속도로 2024년 6월 개통, 1년 앞당겨…통행시간 34분 단축

입력 2019-12-2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부ㆍ중부고속도로 통행량 각각 12%, 20% 감소 전망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애초 계획보다 1년 앞당겨 2024년 6월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이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서울~세종 통행시간이 108분에서 74분으로 34분 단축되고 경부고속도로는 12%, 중부고속도로는 20% 수준의 통행량 감소가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경제 중심의 서울특별시와 행정 중심의 세종특별자치시를 연결하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세종~안성 구간(세종, 천안, 안성 및 청주 통과) 공사를 27일에 착공한다고 밝혔다.

세종~안성 구간은 2017년 7월 민자사업에서 재정사업으로 전환된 후 조속하게 설계를 추진해 애초 계획보다 1년 앞당겨 착공한다. 앞서 성남∼구리 구간은 2016년, 안성∼성남 구간은 2017년 착공에 들어갔다.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돼 조기 구축을 추진 중인 사업으로 총사업비 9조6000억 원, 연장 128.1km, 왕복 4~6차로 신설노선이다.

앞서 착공한 안성~구리 구간은 2022년 12월, 이번에 착공하는 세종~안성 구간은 2024년 6월에 개통하는 것이 목표이다.

세종~안성 구간은 세종분기점을 시점으로, 남안성분기점을 종점으로 하는 본선(55.9km)과 연기나들목에서 오송신도시를 연결하는 오송지선(6.2km)으로 구성된다.

당진~영덕, 경부, 평택~제천 고속도로와 직접 연결해 기존 고속도로 이용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5개의 나들목(세종, 연기, 동천안, 서운입장, 금광하이패스)을 통해 인근 지역주민들이 고속도로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건설할 계획이다.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서울에서 세종까지 통행시간은 평일 기준 약 34분(108→74분) 단축되며 경부선은 기존대비 12%(일 평균 1만4000대~2만5000대), 중부선은 20%(1만7000대) 내외의 교통량 감소가 예상된다.

또 통행시간 단축, 차량운행비용·환경오염·교통사고 감소 등 연간 약 7404억 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수도권과 충청권 지역 간 연계강화를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석 국토부 도로국장은 “서울~세종 고속도로의 조기 개통을 계기로 세종시가 명실상부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용태 "김건희 여사 문제 사과…영부인 검증하겠다”
  • LG 트윈스와 손잡은 유플러스, ‘일상의틈’으로 프로야구 팬덤 공략 [가보니]
  • 2025년은 축구계 성불의 해? 유럽대회 결승 앞둔 손흥민, PSG의 운명은… [이슈크래커]
  • 일감은 산더미인데 ‘일손’이 없다 [장인 없는 제조강국上]
  • ‘2025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재빠른 수령 방법은? [그래픽 스토리]
  • '호텔경제학'=짐바브웨...'셰셰'는? [그 공약, 안 사요]
  • "이게 연프야, 서바이벌이야?"…'데블스 플랜2'가 놓친 본질 [이슈크래커]
  • 단독 “유광열 하이엠솔루텍 대표, 중동 찾았다”…LG전자, ‘글로벌 사우스’ 공략 박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987,000
    • +1.5%
    • 이더리움
    • 3,563,000
    • +1.92%
    • 비트코인 캐시
    • 560,500
    • +2.56%
    • 리플
    • 3,317
    • +0.7%
    • 솔라나
    • 237,600
    • +1.58%
    • 에이다
    • 1,057
    • +3.12%
    • 이오스
    • 1,038
    • -5.03%
    • 트론
    • 380
    • -1.55%
    • 스텔라루멘
    • 409
    • +2.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000
    • +1.56%
    • 체인링크
    • 22,110
    • +1.14%
    • 샌드박스
    • 438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