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력 계통의 한계를 넘고, 수도권 쏠림 구조를 완화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실증사업이 전국 7개 지자체에서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규제특례를 적용한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을 통해 전력 직접거래, 저렴한 요금제, 재생에너지 기반 신산업 유치 등 분산형 전력 공급 모델을 시험하고, 지역 내 에너지 자립과 전력시장 혁신의 전환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분산에너지특화지역(분산특구) 실무위원회를 열고, 전국 11개 지자체 중 7곳을 분산특구 후보지로 최종 선정했다.
분산특구는 지난해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기존 전기사업법과 전력시장운영규칙 등의 규제를 완화해 에너지 신사업을 실증하는 지역이다. △전력 직접거래 허용 △저렴한 전기요금 적용 △에너지 자립형 구조 조성 등을 통해 지역 간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새로운 시장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7곳은 실증 목표에 따라 △신산업 활성화형(제주, 부산, 경기, 경북) △수요 유치형(울산, 충남, 전남)으로 나뉜다.
관련 뉴스
신산업 활성화형으로 선정된 제주도는 전기차를 ESS(에너지저장장치)처럼 활용해 충·방전을 통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V2G(Vehicle to Grid) 사업을 실증할 예정이다. 제주특구 지정 시 현대차의 EV9 차량 55대가 충방전 테스트에 투입된다.
부산시는 에코델타시티에 데이터센터와 ESS 팜(최대 500MWh)을 조성해 한전 전력을 직접 충전·판매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ESS 충전원 제한 완화와 시간대별 요금 최적화를 통해 계통 안정화와 소비자 요금 절감을 도모한다.
경기도 의왕시는 ESS를 활용해 인근 전기차 충전소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모델을 시험하고, 경북 포항시는 영일만 산업단지 내 이차전지 기업에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으로 생산한 무탄소 전력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수요 유치형 특구로 선정된 울산은 지역 발전사(SK MU)가 전력직접거래를 통해 울산 미포산단의 석유화학업체에 저렴한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AI 데이터센터 유치를 통해 비수도권 분산을 유도하는 전략도 병행한다.
충남 대산산단에서는 HD현대이앤에프가 전력직접거래를 통해 석화기업과 인근 산단 기업에 전기를 공급하고, 전력요금 경쟁을 유도한다.
전남 해남 솔라시도에는 RE100 기반의 데이터센터와 구역전기사업이 최초 도입된다. 잦은 출력제어와 송전 제약 문제가 있던 계통 포화지역에 자가소비형 모델을 구축하는 실증이 진행된다.
산업부는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를 6월 중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분산특구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분산특구가 지정되면 지역별 여건에 맞춘 전력 신사업 모델이 제도화되며, 에너지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지역의 에너지 수급 문제를 지자체와 지역 발전사, 산업단지 기업체, 시민들이 함께 풀어가는 다양한 모델들이 발굴된 것이 큰 성과"라며 "분산특구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추가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