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달쏭思] 간과(看過)

입력 2017-11-28 10: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어느 국회의원이 경북 포항 지진과 관련하여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자신의 생각을 전하는 과정에서 “간과해서 들어서는 안 된다”는 말을 했다. 자연스럽지 못한 표현이다.

간과는 한자로 ‘看過’라고 쓰며 각 글자는 ‘볼 간’, ‘지날(지나칠) 과’라고 훈독한다. 글자대로 풀이한다면 ‘보고 지나감’이라는 뜻이다. 사전은 ‘看過’를 “큰 관심 없이 대강 보아 넘김”이라고 풀이한다.

따라서 “간과해서 들어서는 안 된다”라는 국회의원의 말은 ‘큰 관심 없이 대강 보아 넘겨서 들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 되고 만다. 보아 넘기는 것은 눈이 하는 행위이고 듣는 것은 귀가 하는 일인데 눈이 하는 일로 귀가 하는 일을 수식하다 보니 어색해진 것이다.

보는 것은 눈이 하는 일로, 듣는 것은 귀가 하는 일로 나누어 표현해야 한다. 즉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혹은 “흘려들어서는 안 될 것이다”라고 했어야 한다. 더욱더 강조하고자 한다면 “간과해서도 안 되고 또 흘려들어서도 안 될 것이다”라고 하면 된다. 한자를 통해 단어의 뜻을 분명히 알게 되면 말을 보다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을 텐데 우리 사회는 자꾸 한자를 버리려고만 하니 안타깝다.

중국어에서 看過가 우리가 쓰는 것처럼 ‘대강 보아 넘김’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부 고문(古文)에서는 더러 그렇게 사용한 예를 볼 수 있지만 현대 백화문에서 看過는 ‘본 적이 있다’거나 ‘이미 보았다’는 뜻이다. ‘過’를 과거를 나타내는 시간 보어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어에서 看過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대강 보아 넘김’이라는 뜻이다.

세상에는 간과해야 할 일이 있고 간과해서는 안 될 일도 있다. 마찬가지로 흘려들어야 할 말도 있고 절대 흘려들어서는 안 될 말도 있다. 간과할 일과 간과해서는 안 될 일, 흘려들을 말과 절대 흘려들어서는 안 될 말을 잘 구분할 때 비로소 철드는 것이 아닐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건강한 노화’ 열쇠 찾았다 [바이오포럼2025]
  • IMEI·IMSI 동시 유출 땐 복제폰 위험⋯전문가 "최악의 상황 고려하라"
  • 서울에서 자녀 출산한 무주택가구, 최대 720만 원 받으려면 [경제한줌]
  • 단독 한화에어로, 방산 1호 중대재해 적용 피할 듯…노동청, 내사종결 가닥
  • 단독 '고아계약' 사라지나…금융당국, 설계사 퇴사 시 수수료 승계 검토
  • 도루·헤드샷·벤치클리어링…야구 불문율 이제는 극혐? [요즘, 이거]
  • 단독 이재명 '호텔경제학' 근본은 '성매매 경제학'?
  • ‘불꽃야구’ 신입 내야수 박찬형, 롯데 자이언츠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628,000
    • +0.9%
    • 이더리움
    • 3,503,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36%
    • 리플
    • 3,302
    • -1.26%
    • 솔라나
    • 235,100
    • +0.86%
    • 에이다
    • 1,034
    • -0.77%
    • 이오스
    • 1,089
    • -0.27%
    • 트론
    • 388
    • +3.74%
    • 스텔라루멘
    • 400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200
    • -2.48%
    • 체인링크
    • 21,830
    • -1%
    • 샌드박스
    • 431
    • -1.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