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선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 하락한 271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5% 오른 788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1분기 매출액은 대한전선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해 연결 분기 실적을 측정하기 시작한 2010년 이래 최고치다.
대한전선은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수주가 확대되고, 해외 법인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전선은 지난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국가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연이어 확보하며, 1분기 기준 2조8000억 원 이상의 수주 잔고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9455억 원 대비 약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미국과 유럽 지역의 고수익 프로젝트 비중이 전체 수주 잔고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관련 뉴스
대한비나(Taihan Vina), 남아공 엠텍(M-TEC) 등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생산 및 판매 법인 역시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배 올랐다.
대한전선은 업계 최대 리스크로 꼽히는 미국 관세 관련 대응방안에 관해 "현지 업체 대비 우월한 기술 역량과 안정적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주요 전력청의 선호도가 높다"며 "특히 초고압 케이블 시스템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확고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기술 우위를 기반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 추진 경과를 공유하며, 최근 LS전선과의 기술 탈취 분쟁에 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일부에서 해저케이블 공장 레이아웃과 관련해 조 단위 손해배상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다”며 “대한전선은 경쟁회사의 영업비밀을 침해한 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법리와 판례, 당사의 공장 건설 현황상 조 단위 손해배상은 성립이 불가능하다”며 “기술 개발에 투입된 비용이 손해액으로 직결되지 않으며, 아직 완공되지 않은 당사의 공장과 경쟁사의 전체 공장을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전선은 해저케이블 1, 2공장 중 현재 1공장 1단계를 가동 중이며, 1공장 종합 준공은 올해 상반기에 예정돼 있다. HVDC 해저케이블을 생산하는 2공장은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초고압 케이블뿐 아니라 중저압 케이블 및 가공선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성과를 거두며 기술력과 품질을 입증하고 있다”며 “해저 및 HVDC 케이블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 확대와 수주를 통해 실적을 지속 개선하고 수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