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과 핵협상서 유화 메시지…민간 원전까지는 보장

입력 2025-04-24 16: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보보좌관 강경 발언 후 1개월 만에 입장 바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왼쪽)와 이란 측 카운터파트너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의 모습. (AFP/연합)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왼쪽)와 이란 측 카운터파트너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의 모습. (AFP/연합)

이란과 핵협상을 하면서 첨예한 대립을 이어온 미국이 “민간 용도의 핵 프로그램은 용인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섰다. 이란이 이 협상안을 수용하면 양측의 핵협상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수용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한 팟캐스트에 출연 “이란이 민간 핵 프로그램을 원한다면 세계의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위해선 이란이 직접 핵 물질을 추출하는 게 아니라 농축 핵 물질을 수입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현재 우라늄 농축 기술을 앞세워 핵 물질 생성을 추진 중인 이란이 이를 포기한다면, 즉 다른 나라에서 민간 원자력발전소에 쓸 용도로 ‘저농축 우라늄’을 수입한다면 이를 막지 않겠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이번 루비오 장관의 발언은 이제껏 백악관의 강경한 기조에서 한발 물러났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지난달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란은 어떠한 핵 프로그램이라도 완전히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강경한 태도에서 한발 물러나 미국의 양보를 담은 타협안을 제시한 셈이다. 미국과 이란은 새로운 협상안을 놓고 26일 오만에서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미국이 한발 물러서며 이번에 제시한 협상안을 이란이 거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양측이 서로에 대한 불신이 깊은 만큼 협상안 하나가 해빙 분위기를 조성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분석도 지배적이다.

앞서 1990년대 이란은 유럽에서 저농축 핵연료를 수입을 추진했다. 명목상으로는 원자력 발전이었다. 그러나 당시 미국이 이에 대해 반기를 들면서 농축 핵연료의 수입이 가로막혔다. 이를 기점으로 이란은 자체적인 핵연료 개발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1월 출범 직후부터 이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가며 핵 협상을 이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에 핵 포기를 압박하면서 “필요하다면 이란의 핵시설을 군사적으로 정밀 타격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며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이에 맞선 이란 정부는 핵무기 개발 시도 의혹을 부인하며 “이란의 관련 프로그램은 평화적 목적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20일 카젬 흘겨봐 바다 이란 외무차관은 의회 국가안보·외교정책 위원회에 출석 “이란은 핵무기 개발 의도가 없다”고 재확인하면서도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은 “한계점”이자 “협상 불가 대상”이라며 선을 그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796,000
    • +1.82%
    • 이더리움
    • 2,764,000
    • +6.76%
    • 비트코인 캐시
    • 577,000
    • +11.61%
    • 리플
    • 3,113
    • +3.05%
    • 솔라나
    • 218,200
    • +4.85%
    • 에이다
    • 1,016
    • +5.94%
    • 이오스
    • 1,183
    • +15.19%
    • 트론
    • 353
    • +0.57%
    • 스텔라루멘
    • 386
    • +4.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350
    • +5.43%
    • 체인링크
    • 20,980
    • +7.59%
    • 샌드박스
    • 411
    • +7.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