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의 28.6% 10~20분, 37% 20~30분 답변
김소영 금소처장 "상품설명 합리화"
금융감독원이 공모펀드 상품설명서를 간소화한다. 금융회사가 긴 시간 일방적으로 낭독하는 경직된 설명에서 벗어나 짧은 시간에 핵심 정보만 전달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29일 금감원 9층 회의실에서 '공모펀드 상품설명 합리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 킥오프(Kick-Off)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김미영 금융소비자보호처장과 금감원 임원,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미래에셋·한국투자·NH·삼성증권, 신영·흥국·IM에셋자산운용 등 11개 사,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TF는 복잡하고 방대한 공모펀드 상품설명서 구조를 손질해 투자자의 이해도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출범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이후 금융상품 설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명의무 합리화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하지만, 여전히 금융회사의 경직된 스크립트 낭독식 설명 방식이 유지되면서 소비자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공모펀드는 소액투자와 중위험·중수익 추구에 적합한 국민 재산형성 수단인 만큼, 불필요한 절차는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AI 추천 뉴스
금감원 미스터리 쇼핑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과 증권사에서 펀드 가입 상담에 평균 61.7분이 소요됐다. 국민 인식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57.0%가 상품 설명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상담시간에 대해 응답자의 28.6%가 10∼20분, 37.0%가 20∼30분으로 답변했다.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상품설명서가 간결하고 명확하게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스터리 쇼핑 및 국민 인식 조사를 통해 긴 가입 시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펀드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들이 공모펀드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들도 "상품설명 합리화는 건전한 투자문화 조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적극적인 협조를 약속했다.
TF는 실제 펀드 가입 현장에서 소비자와 금융회사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설명 합리화 방안을 마련한다. 금융회사가 설명의 정도와 방식을 조정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 및 소비자 유형을 구체화한다. 상품설명서의 내용·형식을 상품에 가입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 위주로 재구성해 전달력을 높이고 소비자 이해도를 제고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TF회의 후 실무작업반을 구성한다. 실무작업반은 6월까지 실무 논의, 합리화 방안 마련하고 올해 3분기중 후속조치를 이행한다. 금감원이 발제하면 업권과 논의 및 개선방안 구체화해 개정(안)을 만들 계획이다.
금감원은 향후 주요 판매채널과 투자자 대상 설문조사를 병행해 최종 개선안을 마련하고, 필요 시 법령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