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원인 ‘알츠하이머병’, 초기 관리가 관건[e건강~쏙]

입력 2025-05-17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보호자 통한 병력 청취 중요…가벼운 기억력 감퇴·성격변화 증상 주의해야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신경세포가 점차 손상되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70%가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65세 이후에 발병하지만 최근 4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도 나타나 조기 진단과 치료로 증상의 악화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해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2023년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만1109명으로 집계돼 국내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6위에 올랐다. 알츠하이머병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21.7%로 파악됐다.

알츠하이머병은 보통 가벼운 기억력 저하로 시작된다. 이는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hippocampus)가 질병 초기부터 손상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최근에 있었던 일이나 새로 익힌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지만, 과거의 기억은 비교적 또렷하게 유지돼 보호자가 치매로 인식하기 어렵다. 최근의 일이나 대화 내용을 반복해서 잊는 증상이 점점 심해진다면, 알츠하이머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해마의 주변부 손상이 발생하면서 왼쪽 측두엽 및 두정엽까지 영향을 받으면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게 된다. 오른쪽 측두엽과 두정엽 손상이 오면 길을 잃는 증상이 발생한다. 드물게는 왼쪽 측두엽과 두정엽이 먼저 침범해서 말을 더듬고 이해력이 떨어지는 로고페닉 실어증(logophenic aphasia)이 발생할 수 있다. 전두엽까지 손상되면 성격 변화가 생겨 쉽게 화를 내거나, 부지런하던 사람이 무기력해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우울감, 의심 증상, 식욕 변화, 수면 장애 등이 함께 나타낙도 한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기전은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란 작은 단백질이 과도하게 생성돼 침착되면서 뇌의 신경세포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이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여성, 저학력, 우울증, 두부 손상 병력, 청력 저하 등의 요인이 유병률을 높인다는 연구도 있다. 하지만 아직 명확한 인과관계는 규명되지 않았다.

진단을 위해서는 보호자를 통한 정확한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검사, 인지 기능 검사 등이 중요하다. 전문의가 병의 양상을 확인한 후 일상생활 기능 검사, 혈액검사 등을 실시하고,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뇌 영상 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 기능적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한다. 또한 뇌의 아밀로이드 침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PET 검사도 시행할 수 있다.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완전한 치료 방법은 없다. 최근 레카네맙이나 도나네맙과 같이 베타 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병의 진행을 늦추는 면역 치료법이 등장해 하나의 치료 옵션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뇌 손상이 심하지 않은 전 단계나 초기 환자에게 유용하다. 이전부터 사용했던 아세티콜린 분해요소 억제제는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환자에게는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증상 개선 치료에 사용된다.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 재활치료, 기억력·현실 지남력 훈련 등 비약물 치료는 조기에 진행할수록 효과가 좋다.

김종헌 고려대 안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려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하다. 운동, 청력 저하 예방 및 치료, 올리브유, 등푸른생선을 포함한 지중해식단, 카레 등이 치매 예방에 효과 있다고 알려져 있다”라면서 “흡연이나 음주와 같이 뇌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은 최대한 멀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의 완벽한 치료법은 아직 없지만, 증상이 나타나는 초기에 약물과 비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병의 진행을 늦추고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며 “가벼운 기억력 감퇴, 업무 능력의 저하 등 초기 전조 증상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 직접 때렸다…트럼프 “핵시설 3곳 성공적 공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용준형, 소속사와 갈등 폭로⋯"갑자기 나가라, 십몇억 내놓으라고 해"
  • 박영규 아내, 25세 연상 남편에 호감 느꼈던 순간⋯"팔에 털이 많아, 남성미 있어"
  • [가보니] “통신사 바꾸길 잘했어요”…KT ‘전시 혜택’에 고객 몰렸다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154,000
    • -0.63%
    • 이더리움
    • 3,174,000
    • -6.01%
    • 비트코인 캐시
    • 653,000
    • +0.62%
    • 리플
    • 2,885
    • -2.47%
    • 솔라나
    • 188,700
    • -3.38%
    • 에이다
    • 769
    • -5.41%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29
    • -2.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10
    • -3.01%
    • 체인링크
    • 16,740
    • -4.94%
    • 샌드박스
    • 330
    • -5.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