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달성한 이재명, 앞으로의 과제는

입력 2025-04-27 18: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89.77% 압도적 득표율 기록 李, 민주 공식 대선 후보 선출
‘말실수’, 가장 유의해야 할 부분 꼽혀…“언행 유의해야”
중도 확장성, 저조한 호남 투표율도 극복 과제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 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2025.4.27.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 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2025.4.27.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본선행을 확정 지었다. 이 후보는 최종합계 89.7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경쟁자로 나선 김동연·김경수 후보를 압도했다.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가 공식적으로 대선 후보로 선출된 가운데, 이 후보의 앞에 놓인 과제들이 주목된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에서 91.54%(득표수 321,044표), 최종 합계 89.77%로 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됐다. 최종 결과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였다. 민주당은 전체 대의원·권리당원·재외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와 일반 국민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50%씩 반영해 대선 후보를 선출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주 충청·영남 지역, 전날(26일) 호남 경선을 거치며 89.04%(득표수 301,673명)의 누적 득표율을 달성했다. 이 후보는 이날 수도권·강원·제주 경선까지 합산해 90%에 육박하는 득표율로 1987년 이후 민주당 계열 정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역대 최고 득표율을 달성했다.

당내 경선에서 시종일관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왔지만, 이 후보 앞에 놓인 과제도 적지 않다. 이 후보 본인의 언행에 대한 리스크가 대표적이다. 이 후보도 21일 여의도 한국금융투자협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앞두고 “마이크 끄고 하겠다. 말실수하다가 또 트집 잡힐까 봐”라며 발언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인 만큼 ‘말실수’는 이 후보가 유의해야 할 사안으로 꼽힌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우선 이 후보는 언행을 유의해야 한다”며 “국민적인 비호감도가 높은 이 후보가 자칫 언행을 실수한다면 대선 정국에서는 속된 말로 한 방에 훅 갈 수 있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발언을 주의해 리스크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이 후보가 언행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현상 유지만 잘하면 된다”고 평가했다.

‘중도 확장성’과 관련해서는 비상계엄 사태 및 탄핵 정국으로 인해 이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압도적인 만큼 이 후보가 구사하고 있는 ‘로키(low-key) 전략’, ‘부자 몸조심 전략’을 이어가는 것이 지속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중도 확장도 도전자적 확장과 지키는 확장이 있다. 지금 이 후보는 지키는 확장 콘셉트”이라며 “현재 구사하고 있는 로키·부자 몸조심 전략을 통해 분란을 만들지 않고, ‘성장’, ‘통합’ 등의 키워드로 이 후보에 대한 반감을 누그러뜨려야 한다”고 했다.

지역 순회 경선에서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인 호남의 투표율(53.67%)이 충청(57.87%), 영남(70.88%), 수도권·강원·제주(63.56%)에 비해 다소 낮았던 부분도 이 후보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제시됐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이 후보에게 힘을 실어준다고 하면 호남의 투표율이 최소 중간 정도는 가야 한다”며 “전통적 지지세력에 대한 약화는 대선을 앞둔 이 후보가 당면한 문제”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물가 시대, 싸게 생필품 구매하려면…유통기한 임박몰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CDMO·시밀러 분리 선언한 삼성바이오, ‘글로벌 톱 바이오’ 승부수
  • 미국, 워싱턴D.C.서 총격 사건으로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 사망
  • 선거 벽보 훼손하면 진짜 감옥 가나요? [해시태그]
  • 물벼락 맞을 준비 됐나요?…흠뻑쇼ㆍ워터밤이 세운 '여름 공식' [엔터로그]
  • 손흥민 첫 우승컵, 토트넘 레전드 된 캡틴
  • SKT 유심 교체 300만 명 돌파…"유심 배달 서비스 검토"
  • [르포] “삼성·LG가 왜 노트북을 만들어요?”…‘PC의 성지’ 대만 전자상가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128,000
    • +2.58%
    • 이더리움
    • 3,656,000
    • +1.56%
    • 비트코인 캐시
    • 577,500
    • +2.94%
    • 리플
    • 3,341
    • +1.09%
    • 솔라나
    • 248,000
    • +4.25%
    • 에이다
    • 1,100
    • +3.68%
    • 이오스
    • 1,050
    • -3.05%
    • 트론
    • 379
    • -0.52%
    • 스텔라루멘
    • 413
    • +1.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400
    • +8.58%
    • 체인링크
    • 22,800
    • +2.06%
    • 샌드박스
    • 459
    • +4.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