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군산ㆍ장항ㆍ울산항 등 19개 항만재개발에 6.8조 투자

입력 2020-12-28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산북항 등 도심연계 사업, 공공시설 50% 이상 확보
일자리 최대 63만 개 창출 전망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헤양수산부)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헤양수산부)
정부가 2030년까지 군산항(금란도), 장항항(어항부두), 울산항(매암동 매립지) 등 19개 항만재개발에 6조8000억 원을 투자한다. 규모를 모두 합치면 여의도 면적의 7배(2121만㎡)가 넘는다.

해양수산부는 28일 향후 10년간의 항만재개발 정책방향과 대상사업 등이 담긴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21~2030년)’을 수립·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도시와 함께 발전하는 시민들의 항만공간’이라는 비전 아래 세 가지 추진전략을 담았다.

우선 전국 14개 항만, 19개 사업지역을 항만재개발 예정 구역으로 지정하고 사업별 개발방향과 토지이용구상, 향후 추진계획 등을 제시했다.

19개 구역 중 군산항 금란도와 장항항(어항부두), 울산항 매암동 매립지 등 3개 구역, 218만㎡가 신규로 지정됐고 기존 16개 구역도 지자체 의견과 현지여건, 공공시설 기준 등을 고려해 면적과 위치, 토지이용구상 등이 모두 조정됐다.

19개 사업구역은 △원도심 활력제고형 사업 △해양산업육성·지원형 사업 △지역생활·문화거점형 사업 등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재개발이 추진된다. 전체 면적 규모는 여의도 면적의 7배가 넘는 2121만㎡이며 총사업비는 약 6조8000억 원(상부시설 포함 시 약 51조 원)이다. 또 부지조성 시 일자리 창출 4만 개(상부포함 시 63만 개), 운영 시 2만5000개 일자리 창출을 예상했다.

부산북항이나 인천내항과 같이 원도심과 인접한 7개 항만공간은 원도심 활력제고형 사업으로 낙후된 원도심 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후도심과 연계해 복합 개발된다. 내년에 인천내항과 목포남항 재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시행자를 선정한다.

광양항 묘도 매립지나 인천항 영종도 매립지와 같은 대규모 매립지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항만 활성화를 지원하는 해양산업육성·지원형 사업으로 개발된다. 내년에는 현재 추진 중인 광양항 묘도 재개발 부지(312만㎡)에 대규모 LNG 저장시설 조성이 시작된다.

포항 구룡포항과 장항항 등의 소규모 항만공간은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문화·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역생활·문화거점형으로 개발된다. 내년에 부산항 용호부두와 구룡포항 재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시행자 선정을 착수한다.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기대효과. (해양수산)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기대효과. (해양수산)
해수부는 이번 계획에 반영된 19개 사업에 대한 민간투자를 통해서 약 5조900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상부시설 포함시 약 90조 원)가 발생하고 향후 상부시설이 활성화될 시에는 매년 4조4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지역에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항만재개발 시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업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사업별 공공시설 비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향후 사업 추진 시 시민들을 위한 공원과 주차장 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했다. 도심연계 등 공공성 확보가 필요한 사업(부산북항, 인천내항 등)은 50% 이상, 해양관광·물류산업 유치목적의 부지조성 사업(광양항 등)은 30∼40% 이상이다.

또 소규모 사업은 지자체 우선 시행, 항만공사 내 재개발공사는 항만공사 추진원칙을 마련해 지자체의 역할·책임을 강화하고 사업시행자 선정과 관련한 시행착오도 최소화했다. 항만재개발 지역협의체도 법제화해 지역의견을 수렴토록 했다.

해수부는 사업을 유형별로 구분해 절차를 합리적으로 간소화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항만공사가 소유 부지를 재개발할 경우 3자 공모 절차를 생략한다. 사업시행자 요청 시 중간정산과 부분준공을 통해 사업자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해준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항만은 국가와 지역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지만 일부 시설은 도시 성장의 걸림돌이 돼 왔다"며 ”항만공간을 도시와 연계되는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86,000
    • -0.8%
    • 이더리움
    • 4,911,000
    • -1.84%
    • 비트코인 캐시
    • 627,500
    • -0.63%
    • 리플
    • 683
    • +0.29%
    • 솔라나
    • 212,500
    • -1.48%
    • 에이다
    • 608
    • +0.83%
    • 이오스
    • 968
    • -1.53%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600
    • -0.07%
    • 체인링크
    • 21,670
    • -0.32%
    • 샌드박스
    • 564
    • -0.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