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곤이(鯤 )

입력 2019-01-29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생선탕을 주문하고서 “고니 좀 서비스로 주세요”라고 하면 생선 내장이나 알을 따로 듬뿍 내오는 인심 좋은 음식점이 있다. 다른 지역은 몰라도 필자가 사는 전주에는 그런 음식점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저 입말로 ‘고니’라고 하지만 실은 ‘곤이’가 맞는 말이며 한자로는 ‘鯤鮞’라고 쓴다. ‘곤이 곤’, ‘곤이 이’라고 훈독하는데 국어사전은 ‘곤이’를 “물고기 배 속의 알”, “물고기의 새끼”라고 풀이하고 있다.

중국 최초로 나라별 역사를 기록한 ‘국어(國語)’라는 책이 있다. 공자가 천자국인 주(周)나라에 속한 하나의 제후국인 노(魯)나라의 역사를 바탕으로 ‘춘추(春秋)’라는 책을 지었는데, 이에 대해 좌구명(左丘明)이 구체적인 풀이를 더해 ‘전(傳)’을 붙인 것이 ‘춘추좌씨전’ 즉 후대에 ‘춘추좌전’으로 통칭되는 책이다. 그런데 좌구명은 ‘춘추좌전’에 누락된 내용을 따로 모아 또 하나의 역사책을 엮었으니 그것이 바로 ‘國語’라는 책이다. 이러한 까닭에 ‘國語’는 달리 ‘춘추외전(春秋外傳)’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 ‘國語’의 ‘노어(魯語)’ 부분에 “어금곤이(魚禁鯤鮞:고기잡이에서 곤이를 잡는 것을 금했다)”라는 말이 나온다. ‘鯤鮞’라는 말이 처음 보이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 때의 학자인 위소(韋昭 204-273)는 주를 통해 ‘鯤’은 ‘어자(魚子)’ 즉 ‘고기새끼(알)’라고 풀이하였고, ‘鮞’는 “미성어(未成魚)” 즉 ‘아직 다 자라지 않은 고기’라는 풀이를 하였다.

문자의 구조로 보아도 ‘鯤’은 ‘魚(물고기 어)’와 ‘昆(자손 곤)’이 합쳐진 글자이니 ‘고기새끼’ 즉 ‘알’이라는 풀이가 맞고, ‘鮞’는 본래 ‘鱬’라고 썼으니 ‘魚’와 ‘需(=孺:젖먹이 유)’가 합쳐진 글자로서 ‘젖먹이 물고기’ 즉 아직 다 자라지 않은 어린 물고기라는 뜻이다. 그래서 ‘鯤鮞’는 물고기 배 속의 알과 아직 자라지 않은 어린 물고기라는 뜻인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492,000
    • -0.64%
    • 이더리움
    • 2,635,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48,000
    • +5.38%
    • 리플
    • 3,162
    • -0.88%
    • 솔라나
    • 212,200
    • -2.48%
    • 에이다
    • 997
    • -1.58%
    • 이오스
    • 1,029
    • +0.98%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394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1.58%
    • 체인링크
    • 20,940
    • -1.46%
    • 샌드박스
    • 430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