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1810조3000억, 주담대 1133조5000억…증가폭 줄어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후 가계부채 증가 속도 안정 전망”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1분기말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700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2조8000억 원 증가했다. 전분기 증가폭 11조6000억 원과 비교하면 그 폭이 축소됐다.
유형별로 보면 가계대출은 4조7000억 원 증가한 1810조3000억 원, 판매신용은 1조9000억 원 감소한 118조50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가계대출의 증가폭은 전분기 증가폭 9조1000억 원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상품별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9조7000억 원 증가해 1133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증가폭 11조7000억 원보다 그 폭이 줄었다.
김민수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부 금융통계팀장은 “연말·연초 주택거래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1분기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5만8000호, 서울은 1만7200호로 각각 집계됐다.
관련 뉴스
기타대출은 전분기보다 4조9000억 원 감소한 676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에 2조6000억 원 감소한 것보다 그 폭이 커졌다.
기관별로 보면 예금은행(974조5000억 원)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311조3000억 원)은 전분기말 대비 각각 8조4000억 원, 1조 원 증가한 반면 기타금융기관 등은 4조7000억 원 감소했다.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8조4000억 원 증가해 작년 4분기(6조9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담대는 작년 4분기 7조3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된 11조5000억 원 늘었다. 김 팀장은 “작년 4분기에 가계대출 연간 목표를 맞추기 위한 은행권의 대출 관리가 연초 들어 목표액 재설정과 함께 다소 완화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1조 원 증가했다. 주담대는 4조2000억 원 증가한 반면 기타대출은 3조2000억 원 감소했다.
김 팀장은 “(작년 9월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을 앞두고) 그때 선수요 우려가 많았는데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실행되면서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빠르게 안정됐다”며 “지금같은 경우도 선수요가 어느정도 있을 수 있겠지만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작되는 7월 들어서 빠르게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가계신용 증가 속도가 주춤하면서 올해 1분기 명목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80%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한은은 명목GDP 수치를 다음달 5일, 가계부채 통계를 7월 8일에 각각 공표할 예정이다. 작년 4분기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1%였다.
김 팀장은 “가계부채와 밀접한 가계신용이 1분기에 전분기 대비 0.1% 증가했기 때문에 (명목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하향화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김 팀장은 금융여건 완화 기조에 있는 만큼 가계부채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팀장은 “가계대출은 대출 금리 뿐만 아니라 부동산 매수 심리, 거시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 영향을 받는다”며 “(전세대출 보증비율 조정,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등) 정책당국의 거시건전성 강화 기조 등을 감안했을 때 하반기 들어서 가계대출의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금융완화 기조는 언제든 부동산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 정책당국과 한은은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