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젠바이오가 이달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인터펙스 위크 도쿄 2025 (INTERPHEX Week Tokyo 2025)’에 참가해 홍보 활동과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인터펙스 위크 도쿄 2025는 INTERPHEX Japan, in-Pharma Japan, Biopharma Expo, PharmaLab Exp
에스티팜(ST Pharm)은 미국의 글로벌 바이오텍 두 곳과 1825만달러(249억원) 규모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두 건의 공급계약은 심혈관질환 상업화용 2026년 1차 공급 분 1656만달러와 대사질환 신규 임상용 169만달러에 해당한다. 납기는 각각 내년 5월, 올해 12월까지다.
회사는 글로벌학회 발표 및 파
에스티팜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유전자편집(CRISPR)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유전자치료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고도화된 단일 가이드 리보핵산(sgRNA) 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CDMO 시장에서 새로운 입지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성무제 에스티팜 대표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이 바이오 사업 글로벌 네트워킹 확대에 나섰다.
신 부사장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글로벌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전시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 참석했다. 신 부사장의 바이오USA 방문은 이번이 두 번째다.
롯데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롯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서 K바이오 위상이 다시 한 번 증명됐다. 제약바이오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K바이오 기업들의 부스에는 참관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한국기업들은 현지에서 각자 100~200건 이상의 미팅이 예정된 상황이며 “파트너링 상담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웃음지었다.
16일(현지시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바이오USA)’에 대거 출격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등을 비롯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사,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기업, 진단 스타트업 등 80여 개 기업이 참여하며 기술력과 협업 가
에스티팜(ST Pharm)은 지난 19일부터 2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TIDES USA 2025'에 참가해 기술력 홍보에 나섰다고 26일 밝혔다.
TIDES USA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펩타이드 치료제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학회로,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텍 기업들이 최신 연구성과와 제조기술, 시장동향을 공유하는 행사로 알려
7일 양대 지수는 간밤 미국 증시 하락세에도 상승 출발했다.
이날 오전 10시 55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45%(11.44p) 오른 2571.23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2796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36억 원, 1953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오전 10시 49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RNA 치료제, 28년까지 26조 원 규모로 성장ABL바이오‧올릭스,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수출에스티팜, RNA 치료제 생산기지 역할 ‘톡톡’
K바이오 기업들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리보핵산(RNA) 치료제 시장에서 원료 생산부터 플랫폼개발, 후보물질 발굴까지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향후 RNA 치료제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떤 역할을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한 그룹 계열사들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 3284억 원, 영업이익 204억 원을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7.7%, 30.9% 증가한 수치다. 회사에 따르면 주요 사업 회사들의 외형 성장과 에스티젠바이오, 용마로지스의 이
국내 보건의료·제약바이오 산업의 실질적인 비즈니스의 장이자 국내외 기업 간 정보교류, 기술거래의 첨병 역할을 해온 ‘바이오코리아(BIO KOREA) 2025’가 내달 7일부터 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29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바이오코리아 2025 행사 계획을 소개했다. 바이오코리아는 한국보건산업
동아쏘시오그룹의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에스티팜이 미국 바이오텍과 1314만 달러(약 187억 원) 규모의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계약 상대방은 양사 계약 내용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공급계약은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 허가승인을 받은 심혈관질환 올리고핵산치료제
에스티팜(ST Pharm)은 지난 7일부터 11일까지(현지 시각)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규모의 유전자교정 치료제 전문학회 ‘CRISPR MEDiCiNE 2025’에 참가해 신규 기술 홍보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CRISPR MEDiCiNE 2025는 전세계 CRISPR 의료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유전자편집기술의 최신 발전과 임상적용을 논
에스티팜(ST Pharm)은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린 디캣 위크(DCAT Week 2025)에 참가했다고 21일 밝혔다.
DCAT(Drug, Chemical & Associated Technologies) Week는 지난 1890년 뉴욕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시작된 150년 전통의 제약, 바이오 분야 대표 행사로 행사 기간동안 다양한 형
에스티팜이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API) 공급을 잇따라 체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올리고핵산치료제가 희귀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확대되고 있어 수요도 지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향후 에스티팜의 경쟁력도 더욱 높아질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1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에스티팜은 이달 6일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2
에스티팜이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1523만 달러(약 220억 원) 규모의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납기는 올해 9월까지다.
해당 올리고 신약은 만성 B형간염 적응증으로 현재 글로벌 임상 2상이 진행 중이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이번 공급계약은 2025년 첫 번째 신규 프로젝트 수주이며, 이어지는 신규 수주와 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