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롬니 공화당 후보, 저소득층 무시발언 논란 확산

입력 2012-09-19 06: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금 내지 않는 47%, ‘정부 의존형 인간’비하 발언

밋 롬니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가 저소득층을 무시하는 발언이 담긴 동영상이 유출되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롬니 후보는 17일(현지시간) 밤 긴급 기자회견에서 문제의 발언에 대해 “품격있게 표현된 것이 아니었다”면서 “질문에 대해 즉석에서 대답하면서 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현지 언론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일은 롬니를 자애심 많은 지도자로 각인시키려던 최근의 시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화당 지지자들 앞에서 미국민 절반가량을 ‘정부 의존형 인간’으로 표현한 비하 발언으로 평가한 셈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공화당 지지자들은 1인당 5만달러씩 기부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언론은 ‘세금을 내지 않는 47%’를 문제삼고 이는 미국인 모두가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롬니 후보는 지난 5월 플로리다주 공화당 자금모금 행사 도중 한 참석자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지지자들의 표를 어떻게 끌어올 것이냐를 묻자 “미국인 47%는 정부에 의존하면서 자신들을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면서 “이들은 소득세도 내지 않기 때문에 세금을 낮추겠다는 내 공약과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NYT는 47%가 연방소득세를 내지 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회보장 명목의 급여세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또 소득세나 급여세를 모두 내지 않는 가구 18.1% 가운데 절반 이상이 노인층이고 3분의1은 소득 2만 달러 이하 가구라고 NYT는 설명했다.

백악관은 18일(현지시간)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미국인의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모든 미국인을 거론해 세금을 내지 않는 47%를 제외시킨 롬니의 발언을 부각시킨 것이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당신이 미국의 대통령이라면 모든 국민의 대통령”이라면서 “우리를 미국인으로 함께 단결시키는 것이 분열시키는 것보다 훨씬 더 위대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바마 대통령은 자동차 공장 노동자가 지지자이건 경영자들이 지지자이건 신경쓰지 않는다”면서 “그는 옳은 일을 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공화당 진영과 보수세력들은 현재 롬니의 발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윌리엄 크리스톨 위클리스탠더드 편집장은 “매우 멍청하고 건방진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에드 롤린스 공화당 전략가는 이날 폭스뉴스에 출연해 “작은 실수를 한 것”이라면서 “사실을 틀리게 말한 것도 아니다”고 일축했다.

공화당 진영은 경합지에서 갈수록 오바마 대통령보다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악재가 겹치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앞서 롬니 후보는 해외 순방에서 영국 런던 올림픽에 대해 “얼마나 준비됐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스라엘에서는 “이스라엘 경제가 팔레스타인보다 발전한 것은 문화적 차이 때문”이라고 말해 인종주의적 발언이라는 반발을 야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과외앱 20대 또래여성 살해’ 정유정, 대법 선고…1‧2심 무기징역
  • '나는 솔로' 20기 정숙의 뽀뽀 상대 드디어 공개…'뽀뽀남'은 영호
  • 청약통장 월납입 인정액 10만→25만 상향…41년 만에 개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3: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94,000
    • +0.31%
    • 이더리움
    • 4,949,000
    • -0.24%
    • 비트코인 캐시
    • 633,000
    • +0.72%
    • 리플
    • 687
    • +1.18%
    • 솔라나
    • 214,800
    • +1.18%
    • 에이다
    • 609
    • +1.84%
    • 이오스
    • 978
    • +1.03%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150
    • +1.18%
    • 체인링크
    • 22,030
    • +2.85%
    • 샌드박스
    • 569
    • +1.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