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온코닉테라퓨틱스, 미국암연구학회서 항암제 후보물질 위암 적응증 긍정적 결과 발표 소식에 상승세

입력 2025-04-30 09: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온코닉테라퓨틱스가 표준치료요법 병용을 통해 위암 동물모델에서 종양 크기를 비투여 대조군 대비 최대 99.3%까지 감소시키는 성과를 끌어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30일 오전 9시 10분 현재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전일 대비 3100원(14.66%) 오른 2만4250원에 거래됐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5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차세대 이중기전 항암제 후보물질 '네수파립(Nesuparib)'의 위암 적응증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이날 밝혔다.

네수파립은 암세포의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파프(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와 암의 성장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탄키라제(Tankyrase, TNKS)를 동시 저해하는 이중기전 신약 후보물질이다.

기존 PARP 저해제는 BRCA 변이를 포함한 HRD(상동재조합결핍) 상태의 암세포에 주로 효과를 보였지만, 네수파립은 PARP뿐 아니라, Wnt 및 Hippo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Tankyrase를 동시에 억제해 HRD 여부와 관계없이 암세포 증식을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위암 표준치료제 이리노테칸(Irinotecan)과 병용 투여 시, 네수파립은 92.4%의 종양감소를 나타냈다. 반면 올라파립은 단독 투여군과 병용군에서 비투여 대조군 대비 각각 30.1%, 60.7% 감소했다. 이는 네수파립이 올라파립 대비 매우 우수한 종양 감소 효과를 보여준 결과다.

HER2 양성인NCI-N87 위암세포를 이식한 동물시험에서는, 네수파립 단독 투여군이 비투여 대조군 대비 74% 종양감소를 보였고, 이리노테칸과 병용 투여 시는 비투여 대조군(Vehicle) 대비99.3%에 달하는 종양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에도…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안갯속'
  • "너 내 동료가 돼라"…'포섭력 갑' 대선주자는 [왕이 될 상인가]
  • “개인리뷰 덕에 잘 팔려요”…이커머스, 커뮤니티 관리에 올인하는 이유[유승호의 유노우]
  • 단독 ‘라임 술접대’ 정직 처분 검사 사직⋯“돌아보니 후회되는 일 많아”
  • 손흥민의 트로피 행진…토트넘, 오늘 밤 런던서 우승 퍼레이드
  • “맞춤형 라이브 방송 판매” 현대차, 日 시장 공략 사활…내년 BYD와 경쟁 예고
  • 물벼락 맞을 준비 됐나요?…흠뻑쇼ㆍ워터밤이 세운 '여름 공식' [엔터로그]
  • 선거 벽보 훼손하면 진짜 감옥 가나요?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456,000
    • +1.55%
    • 이더리움
    • 3,675,000
    • +3.84%
    • 비트코인 캐시
    • 616,500
    • +9.41%
    • 리플
    • 3,361
    • +0.9%
    • 솔라나
    • 248,600
    • +3.93%
    • 에이다
    • 1,117
    • +4.3%
    • 이오스
    • 1,061
    • +0.76%
    • 트론
    • 381
    • +1.87%
    • 스텔라루멘
    • 420
    • +3.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00
    • +6.81%
    • 체인링크
    • 23,140
    • +3.3%
    • 샌드박스
    • 465
    • +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