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투자 "농심, 2분기 주가 상승 모멘텀·주주 환원…밸류 리레이팅 기대"

입력 2025-05-23 08: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DS투자증권)
(DS투자증권)

DS투자증권은 23일 농심에 대해 2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와 신라면 툼바 해외성과, 유럽 진출 확대 등 주가 상승 모멘텀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여기에 주주 환원 확대까지 더해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목표주가는 54만 원으로 유지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42만3000원이다.

앞서 농심은 중장기 실적 성장 목표와 배당 정책 수립을 골자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했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연결기준 매출액 7조3000억 원, 영업이익률 1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장지혜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성장은 전체 매출의 82%를 차지하는 면류에서 7개 타겟 국가를 중심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7개 국가는 미국·캐나다·브라질·중국·일본·영국·인도로, 각 국가별 시장 맞춤형 전략과 현지화 제품 출시, 유통환경 특성에 맞는 글로벌 영업 강화로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장 연구원은 "면류 다음으로 스낵을 제2의 코어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현지 생산거점 구축 등 성장동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농심 해외매출 비중은 2024년 37%에서 2030년 61%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국내는 수익성 중심 전략을 유지하고 마진이 높은 해외 실적 비중이 확대돼 영업이익률(OPM)은 2024년 4.7%에서 2030년 10%로 상승할 전망"이라고 풀이했다.

농심은 3년 단위로 주주 환원 정책을 수립,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배당정책은 별도 실적 기준으로 배당성향 25%를 유지하고 최소 주당 배당금은 5000원으로 제시했다.

장 연구원은 "농심은 글로벌 사업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통해 증가한 영업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시설투자와 주주 환원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부채비율을 유지하며 금융비용은 최소화할 계획"이라며 "2029년까지 녹산 신공장, 물류시설 등 1조200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예정되어 있고 향후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지속적인 국내외 생산능력(CAPA) 투자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915,000
    • +0.46%
    • 이더리움
    • 3,613,000
    • +2.58%
    • 비트코인 캐시
    • 635,500
    • +1.11%
    • 리플
    • 3,103
    • +3.16%
    • 솔라나
    • 214,600
    • +4.58%
    • 에이다
    • 889
    • +1.48%
    • 트론
    • 384
    • +1.59%
    • 스텔라루멘
    • 363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30
    • -0.57%
    • 체인링크
    • 18,890
    • +3.28%
    • 샌드박스
    • 375
    • +2.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