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첫차부터 '준법투쟁'에 출근길 혼잡 우려

입력 2025-04-30 05: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상 교섭이 난항을 겪으면서 노조가 파업 돌입을 위한 쟁의행위 절차에 들어갔다. 28일 서울의 한 차고지에 시내버스가 주차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상 교섭이 난항을 겪으면서 노조가 파업 돌입을 위한 쟁의행위 절차에 들어갔다. 28일 서울의 한 차고지에 시내버스가 주차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서울 시내버스 노사간 협상이 결렬되면서 30일 오전 첫차부터 '준법투쟁'에 돌입해 출근길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2시께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조는 이날 오전 4시부터 준법운행(안전운행)에 돌입했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는 등 안전이 확보된 것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등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노조가 쟁의행위 방식으로 준법운행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노조는 29일 쟁의행위를 위한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조합원 1만8082명 중 1만5941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1만5359명(96.3%)이 찬성표를 던져 가결됐다. 전체 조합원수 대비 찬성률은 84.9%다.

이번 파업이 현실화되면서 2년 연속 파업으로 기록된다. 지난해 3월 서울 버스노조가 12년 만에 총파업에 나서면서 전체 시내버스 7382대 중 97.6%에 해당하는 7210대가 약 11시간 동안 운행을 멈췄다.

한편 서울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시민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의도적 버스 지연 운행에 따른 출퇴근 시간대 도로 혼잡 심화가 우려되는 만큼 시는 특별 교통대책을 추진한다.

지하철은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 07시~09시보다 1시간 연장한 07시~10시로 확대 운영하고, 1~8호선 및 우이신설선의 열차투입을 47회 늘릴 예정이다.

또한 오전 출근 시간대 지하철 역사와 주요 거점을 연계하는 무료 셔틀버스를 자치구별로 1~2개 노선 운영한다. 셔틀버스 노선 정보는 서울시 및 자치구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766,000
    • -0.04%
    • 이더리움
    • 2,627,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1.22%
    • 리플
    • 3,181
    • -0.9%
    • 솔라나
    • 215,000
    • -1.96%
    • 에이다
    • 1,017
    • +0.69%
    • 이오스
    • 1,061
    • +8.49%
    • 트론
    • 350
    • -2.23%
    • 스텔라루멘
    • 396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50
    • +3.08%
    • 체인링크
    • 21,070
    • -1.68%
    • 샌드박스
    • 433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