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임기 끝날 때까지 해고 의도 없어”
전문가 “시장이 기다리던 신호...최악은 안 끝나”
국제유가, 증산 가속화 의지 커진 OPEC+에 급락

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미‧중 무역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흔들기가 일단락되면서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뛴 3만9606.57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상승한 5375.86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07.63포인트(2.50%) 급등한 1만6708.05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상에 있어 열린 태도를 보이면서 시장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에 대해 “매우 높다. 0%가 되지는 않겠지만, 상당히 낮아질 수는 있다”며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합리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스콘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이날 양국이 무역에 있어 “큰 거래”를 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만약 그들이 재조정을 워한다면 함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다만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전망도 있다. 글로벌트 인베스트먼트의 키스 뷰캐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방송에 “긴장이 완화된다는 아주 조금의 조짐이라도 시장이 기다려온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 최악의 상황은 끝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50~65% 사이로 낮추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후 이 관계자는 CNBC에 이러한 협상은 중국도 무역 장벽을 낮추는 등 양자 간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라고 단서를 덧붙였다.
최근 몇 주간 중국 의존도가 높아 매도세가 이어졌던 애플과 엔비디아 주가가 이날 각 2.43%, 3.86%씩 상승했다. 테슬라 주가도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실적 발표에서 정부효율부(DOGE)에 들이는 시간을 상당히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급등해 이날 5.37% 급등했다.
투자자들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에 대한 압박을 거둔 것에 대해서도 안도한 듯 보인다고 CNBC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5월 파월 의장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그를 해고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다.
달러화 가치도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 발언에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94% 오른 99.84를 기록 중이다.
국채 금리도 보합세다. 이날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전일 수준인 4.387%로 집계됐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의 6월 증산 가속화 소식에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40달러(2.20%) 떨어진 배럴당 62.27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6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1.32달러(1.96%) 내린 배럴당 66.12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몇몇 OPEC+ 회원국이 5월에 이어 6월에도 원유 증산 가속화를 제안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OPEC+ 회원국 사이에서는 생산 할당량 준수를 둘러싸고 긴장감이 맴도는 상황이다. 필 플린 프라이스퓨처스 애널리스트는 “OPEC+ 국가들이 생산량을 늘리려 하는 게 놀랍지는 않다”며 “내부 결속력이 약해졌을 수 있고, 지금까지 생산을 억제해왔던 데 대한 피로감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OPEC은 아니지만 OPEC+에 포함된 카자흐스탄은 할당량을 초과해 원유를 생산함에 따라 OPEC+ 회원국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뒤늦게 “수요‧공급의 균형과 예측 가능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해명하기도 했지만, 이미 앞서 에너지부 장관이 “OPEC+보다 자국 이익이 우선”이라고 말하면서 신뢰가 떨어진 상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미국의 상업용 원유 재고는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증가했다. 18일로 끝난 한 주간 상업용 원유 재고는 24만4000배럴 늘어난 4억4310만 배럴로 시장 예상치 700만 배럴 감소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중국에 대한 관세를 완화할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도 글로벌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를 덜어줬지만, 양국 협력 하에 가능하다는 조건부에 따른 불확실성도 유가에 반영됐다.
가상자산은 상승하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전 7시 28분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0.66% 오른 9만3615.0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2.12% 상승한 1791.96달러에 거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