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證 “선익시스템, 지속적 수주 모멘텀에…목표가↑”

입력 2025-03-18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6만8000원으로 상향

메리츠증권은 선익시스템에 대해 추가 수주를 기반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6만5000원에서 6만8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4만8300원이다.

18일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7일 공개된 수주잔고로 선익시스템을 둘러싼 8.6세대 증착 장비 단가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해소될 것”이라며 “현 주가에서는 향후 기대할 수 있는 추가 수주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주가 흐름이 예상된다”고 했다.

양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5280억 원으로, 전년 말 대비 7배 이상 성장했다”며 “이는 지난해 중순 수주에 성공했으나, 당시 반영되지 않았던 BOE향 8.6세대 증착 장비 수주 금액이 이번 수주잔고에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869억 원), 4분기 추가 수주(약 300억 원), 4분기 기납품액(약 622억 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약 4700억 원 규모의 수주 금액이 추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당사가 기존 추정치에 반영한 단가와 유사하며, 올해 및 향후 실적 가정에 대한 변경이 불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이번 수주잔고 급증을 리스크 해소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다.

양 연구원은 “핵심 투자 포인트는 고단가·고기술력이 요구되는 증착 장비의 수주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 있는 수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라며 “우선, 지난해 말 공식적으로 투자를 발표한 비전옥스(Visionox)는 장비 업체 선정을 앞두고 있으며, 상반기 내 관련 의사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는 “이외에도 올해 말부터 내년 초 사이 일부 중화권 패널 업체들의 추가 투자 발표가 기대된다”며 “국내 고객사의 경우, 2028~2029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맥북 에어 출시 일정을 고려할 때, 내년 중 투자의사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어 “중국 고객사향 OLEDoS 추가 수주 가시성이 높아지고 있어, 상반기 내 또 다른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000,000
    • -0.29%
    • 이더리움
    • 2,641,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3.96%
    • 리플
    • 3,147
    • +0.13%
    • 솔라나
    • 211,700
    • +0.24%
    • 에이다
    • 1,015
    • +2.11%
    • 이오스
    • 1,049
    • +1.65%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50
    • -4.33%
    • 체인링크
    • 20,540
    • -1.58%
    • 샌드박스
    • 408
    • -4.9%
* 24시간 변동률 기준